한국 실정에 맞는 안전관리 책으로, 특히 재해 예방에 가장 필요한 사람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관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4부 1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학기에 강의할 수 있도록 저술되었다.
목차
제1부 안전관리 개론 제1장 안전관리 개요 1. 안전관리의 원리 2. 재해발생과 원인 3. 재해발생 이론 제2장 재해조사와 통계 1. 사고조사 및 분석 2. 사고조사 분석도구 3. 산업재해와 요양신청 4. 재해통계와 재해율 5. 재해 손실비용 제3장 안전조직과 활동 1. 법과 안전보건관리 체제 2. 안전보건관리 조직 3. 안전보건경영시스템 4. 안전 활동 5. 안전 교육
제2부 인간특성을 고려한 안전설계 제4장 정보처리와 인적오류 1. 정보처리 과정 2. 감지능력과 정보처리 능력 3. 인적오류 제5장 인지특성과 오류예방설계 1. 인지디자인 원리 2. 오류예방 설계원리 제6장 신체특성을 고려한 안전설계 1. 인체측정 및 응용원리 2. 신체 동작과 작업설계 3. 작업 공간과 안전설계 4. 입력 및 조정장치 설계 제7장 고령화 사회와 Universal Design 1. 고령화 사회와 안전설계 2. 유니버설 디자인(UD) 3. UD 원칙의 적용
제3부 산업 및 조직심리 제8장 행동특성과 작업동기 1. 산업/조직 심리학 개요 2. 인간의 행동 특성 3. 주의력과 의식수준 4. 작업동기 제9장 집단, 조직 및 리더십 1. 집단의 개념과 조직 2. 집단 역할 분석 3. 집단역학 4. 갈등 관리 5. 리더십 제10장 직무 스트레스 1. 스트레스 개념 및 기능 2. 직무스트레스 3. 스트레스 요인 4. 스트레스 결과 및 관리 제11장 안전문화 1. 조직과 문화 2. 안전풍토와 안전문화 3. 안전문화와 성숙도
제4부 시스템 안전 제12장 시스템과 신뢰도 1. 시스템과 평가척도 2. 시스템과 신뢰도 제13장 위험성 평가 1. 위험과 위험성 평가 2. 위험성 평가절차와 원리 3. 위험성 평가제도 4. 위험성 평가 예시 제14장 시스템 안전 1. 시스템 안전과 위험분석 2. FMEA 3. ETA 4. FTA 5. THE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