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노동야학의 현장에서 더 나은 노동과 교육을 고민하던 한 실천가, 연구자의 여정에서 나온 결과물이다. 노동야학을 좀 더 두텁게 바라보기 위해 교육학적, 철학적 논의도 다루는데, 실제로 노동야학의 밑거름이 되었던 프레이리의 의식화 이론과 최근 민주주의, 노동과 학습에 대해 새로운 문제 제기를 하고 있는 랑시에르의 ‘프롤레타리아트의 밤’과 관련한 내용이 그것이다.
목차
들어가며 노동과 교육이 만나는 길
1 노동야학, 노동과 학습의 만남 2 노동야학의 시작 3 노동야학의 전국적 확산 4 몫 없는 자들의 글쓰기, 말하기 5 노동야학 두텁게 보기 6 노동야학의 쇠퇴와 소멸 7 노동과 학습의 새로운 만남을 위하여
나오며 ‘노동’과 ‘야학’을 넘어
미주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성적표 밖에서 공부하라2015 / 조승우 지음 / 이상
유학준비 비밀노트2010 / 박훈 엮음 / 사회평론
China MBA : 글로벌 기업의 '인재양성소', 중국 MBA에 도전하라!2005 / 이윤석 지음 / 미래의창
China MBA : 글로벌 기업의 '인재양성소', 중국 MBA에 도전하라!2005 / 이윤석 지음 / 미래의창
리더만들기 200년, 미국 사립사관학교로 가라!2010 / 정륜 지음 / 인간희극
보딩스쿨, 나의 이야기 : 꿈을 향한 도전 성공기2016 / 김도훈 외 지음 / 티핑포인트
왜 리더들은 자녀를 중국으로 보낼까2014 / 이채경 ; 하동인 ; 하현지 [공]지음 / 다산에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