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글머리에
사진자료
1부 ─ 한국 잠녀, 해녀는 누구인가?
제1장 신화와 전설
1. 창조신화에 담긴 지혜
2. 여신 설문대 할망과 집
3. 진주와 조상신
제2장 바다와 고대 인류
1. 한반도의 바다 환경
2. 한반도의 신석기인들
제3장 문헌 속 수중 잠수자들
1. 진주와 제주도
2. 조선시대 전복 진상
3. 경상도의 침군과 해부
4. 유학자들이 기록한 제주의 잠녀
5. 제주와 경상도를 잇는 두모악(頭毛岳)
제4장 잠녀, 해녀의 용어 문제
1. 용어는 왜 중요한가?
2부 ─ 일본 제국주의와 바깥물질
제1장 섬에서 바깥으로
1. 시각과 지역 담론
2. 식민지 섬 여성들의 출어
제2장 제국주의 바다와 해양지원
1. 산업원료 우뭇가사리
2. 전쟁에 쓰인 해초, 감태
3. 전복잡이에 응용된 서양 잠수기술
제3장 바깥물질에 얽힌 사회관계
제4장 해방 전후 여성들의 물질 생애
1. 바다로부터 얻은 부(富)
2. 우도 잠수들의 생애사
3. 일본으로 간 ‘조선’의 잠수(潛嫂)들
4. 잠수와 아마
5. 뿌리를 내린다는 것
제5장 잠녀들의 저항
3부 ─ 근대화와 정주화
제1장 분쟁의 바다
1. 관행의 ‘자유’입어
2. 분쟁과 해양자유론
제2장 정주화와 인력수출
1. 이동에서 정주로
2. 인력 수출
제3장 시장과 도구의 변화
1. 시장상품과 도구
2. 도구의 의미
3. 1971년 독도 물질
4부 ─ 바다의 주인
제1장 바다의 공유
1. 해양 공유지론
2. 비경계적 세계의 경계화
제2장 공유지 이용과 분배 방식
1. 울산의 미역 농사
2. 통영의 나잠선
3. 효율성과 지속성의 문제
제3장 대도시 속의 해녀 커뮤니티
1. 해녀와 도시가 만나는 접점지대
2. 커뮤니티의 형성과 운영
5부 ─ 변화와 교류
제1장 무엇을 위해 물질하는가?
1. 얻는 것과 만들어지는 것
2. 자연과 인간
제2장 글로벌화와 바람
1. 공동체의 불안정성과 지속성
2. 유산등록 이후: 자립성의 문제
제3장 교류: 바다는 흐른다
1. 일본 아마의 이름과 신화
2. 시마아마들의 어제와 오늘
3. 바다를 통한 교류
에필로그_잠녀(해녀) 문화는 왜 중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