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탈현대 세계관의 바탕 위에서 이 시대에 대한 사회학적 상상력을 개방하고자 한 책이다. 탈현대 세 계관의 관점에서, 현 시대에 대한 창조적인 비판을 수행하고, 인류가 살아가야 할 새로운 사회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것, 이것이 이 책의 목표이고 내용이다.
목차
들어가는 글
인공지능 시대의 사회학적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1. 사회학적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2. 문명 전환기와 사회학적 상상력
3. 인공지능 시대의 사회학적 상상력의 의미는 무엇인가?
1부 현대 사회학과 현대 사회 비판
Ⅰ. 현대 사회학 비판
1. 현대 사회학 비판 1: 사회문제론의 소멸
1) 노인문제
2) 현대 노동관
3) 사랑이 메마른 사회
2. 현대 사회학 비판 2: 사회발전론의 소멸
Ⅱ. 현대 문명 비판 1-모든 주의(ism)에 대한 비판
1. 휴머니즘 비판
2. 민주주의 비판
3. 자본주의 비판
4. 제국주의 비판
5. 내셔널리즘 비판
Ⅲ. 현대 문명 비판 2-현대 세계관과 현대 사회 문제 인식
1. 현대 인간관과 자아확장투쟁으로서의 삶
1) 힘의 추구
2) 소유와 소비의 추구
3) 인기의 추구
4) 외모의 추구
5) 승리와 성공의 추구
2. 현대 인간관과 노인 소외
1) 현대 인간관과 현대인의 소외
2) 현대 인간관과 노인 소외의 심화
3. 현대 세계관과 다문화 사회 문제
1) 현대 인간관과 다문화 사회 문제
2) 현대 관계관과 다문화 사회 문제
Ⅳ. 현대 문명 비판 3-현대 사회 시스템 비판
1. 현대 자본주의체제 비판
2. 현대 국가 비판
3. 현대 교육 비판
4. 현대 가족 비판
2부 탈현대적인 삶과 사회에 대한 비전
Ⅰ. 탈현대적인 삶의 방식
1. 수행으로서의 삶
1) 에고의 꿈에서 깨어나기 연습
2) 에고를 사랑하기 연습
3) 받아들이기 연습
2. 낙도로서의 삶
1) 관계 속에서의 즐거움
2) 홀로 누리는 즐거움
Ⅱ. 탈중심적인 세계
1. 중심과 주변의 구조로부터의 탈피
1) 인간 중심적인 구조로부터의 탈피
2) 인류의 중심과 주변의 구조로부터의 탈피
3) 영어 중심적인 구조로부터의 탈피
4) 도시 중심적인 구조로부터의 탈피
2. 인공지능, 인간,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세상
Ⅲ. 탈현대 정치
1. 탈현대 정치 목표와 달성 방법
2. 탈현대 정치 단위와 제도
3. 탈현대 정치사상
1) 절대 평등사상
2) 새로운 자유사상
3) 새로운 평화사상
4) 겸(謙) 사상
4. 탈현대 정치 지도자 상
Ⅳ. 탈현대 경제
1. 제4차 산업혁명과 한계비용 제로 사회
2. 자본주의체제의 붕괴
3. 탈현대 경제의 이모저모
1) 시녀로서의 경제
2) 경제의 탈중심성
3) 경제 운용 원리
Ⅴ. 탈현대 교육
1. 현대 교육의 붕괴
2. 탈현대 교육 내용
1) 나는 누구인가
2) 경이로운 세상에 대한 교육
3) 나와 너의 관계는 무엇인가
4) 자각의 힘을 키우는 교육
5) 감사 능력을 키우는 교육
6) 미소 짓기 교육
7) 받아들이기 교육
8) 시간을 창조적으로 사용하는 교육
9) 잘 나이 들어 가는 교육
10) 죽음 교육
11) 화를 맞이하는 교육
12) 평화 교육
13) 욕망 절제 교육
14) 자연과의 교감 교육
3. 탈현대 교육의 이모저모
1) 인공지능 로봇 선생님
2) 노인 교사
3) 사라진 학교-가상공간에서의 교육
Ⅵ. 탈현대 가족
1. 탈현대 가족의 하부구조
1) 생산 영역의 변화
2) 가사노동의 소멸
2. 탈현대 가족의 특징
1) 가족 구성
2) 개방성
3) 탈중심성
3. 사랑의 가족관계
4. 수행과 낙도로서의 가족생활
1) 수행공동체로서의 가족생활
2) 낙도로서의 가족생활
맺는 글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