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제1부 동북아 안정의 토대: 발전 전략과 안보 협력
제1장 중·러 전략적 협력과 한반도 평화 체제
1. 서론
2. 중·러 전략적 협력의 유인과 한계
1) 미국의 유일 패권 견제
2) 경제적 윈윈의 확대
3) 전략적 협력의 한계
3. 중·러 전략적 협력과 한반도 평화
1) 동북아와 한반도 전략
2) 대북 정책과 한반도 비핵화
3)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과의 상관성
4. 결론
제2장 중·일 관계와 한반도 평화
1. 중·일 관계의 변천
1) 1650년대: 민간 중심의 경제 교류
2) 1960년대: ‘2개의 중국’ 정책의 좌절
3) 1970~1980년대: 중·일 관계의 밀월기(蜜月期)
4)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중반: 중·일 관계의 ‘마찰기(摩擦期)’
5) 2000년대 중반~현재: 중·일 관계의 전략적 대치기(對峙期)
2. 네트워크 속의 중·일 관계
1) 정상회담 네트워크 속의 중·일 관계
2) 미디어 네트워크 속의 중·일 관계
3. 중·일 관계의 핵심 현안
1) 역산 인식 문제
2) 영토 분쟁 문제
3) 기타 문제(경제, 군사)
4. 중·일 관계와 한반도
1) 중·일 대립과 한국의 전략 가치
2) 중·일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발전
제3장 시진핑 시기 중국의 신(新)북핵 정책 동향 및 시사점
1. 서론
2. 북한의 4차 및 5차 핵실험과 중국의 대응
3. 중국의 신북핵 정책 동향 및 특징
1) 대북 제재 지속 아래 대화 등 대북한 관리 노력 병행
2) 북핵 대응과 한국 내 사드 배치에 대한 대응의 분리
3) 미·중 ‘신형대국관계’ 시험대로서의 북핵 협력
4. 중국의 신북핵 정책 동향의 함의
5. 결론: 한국의 정책적 시사점
제4장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개념적 이해와 동북아 경제협력
1. 서론
2. 일대일로 추진 동향과 평가
1) 확장: OBOR에서 B&R로
2) 한정: 6대 경제회랑
3) 가설: 상업적 프로젝트와 전략적 프로젝트
3. 일대일로 진행 현황 국가별 분석
1) 문제 의식과 분석의 틀
2) 데이터와 방법론
3) 분석결과
4. 동북아 경제협력을 위한 시사점
1) 시사점
2) 중·몽·러 경제회랑과의 연계 전략
제5장 러시아의 신동방 정책과 동북아 경제협력
1. 서론
2. 러시아 신동방 정책의 특징과 추진 체계
1) 러시아 신동방 정책의 배경 및 프로그램
2) 신동방 정책의 실행 체계
3. 러시아 신동방 정책 성공의 필요충분조적으로서 동북아 경제협력
1) 중국의 지정학적 이해
2) 일본의 지정학적 이해
3) 한국의 지정학적 이해
4. 한국의 극동 러시아 협력 전략
1) 거점 개발형 협력 사업
2) 공간 창출형 협력 사업
3) 네트워크형 협력 사업
5. 결론
제2부 동북아 공영의 토대: 네트워킹과 경제협력
제6장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러시아, 중국 무역 및 투자
1. 서론
2. 무역
1) 연도별, 품목별 무역액 추이와 특성
3. 투자
1) 중국의 대러시아 투자
2) 러시아의 대중국 직접 투자
4. 성과와 문제점
1) 성과
2) 문제점
5. 결론
제7장 러시아 가스의 대중국 수출 전략과 현황
1. 서론
2. 중국으로의 가스 수출과 러시아의 기회
3. 러·중 간 가스 협력 강화를 위한 러시아 프로젝트
4. 러시아 프로젝트의 세 가지 도전
1) 저유가
2) 중국의 가스 수요 둔화
3) 아시아 가스 시장에서의 경쟁 강화
4. 결론
제8장 21세기 동북아 에너지 협력과 한국의 선택
1. 글로벌 가스 시장 변화
2. 동북아 LNG 시장의 특징과 최근 변화
3. 2017년 한국의 에너지 정책 대변혁
제9장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국제해상 물류네트워크
1. 일대일로 배경과 그 추동력
2. 일대일로 전략과 물류 산업 발전
3. 해상 실크로드의 공간 범위와 주요 항구
1) 중국-아세안 경제협력과 해상 물류 네트워크
2) 중국-남아시아 경제협력과 해상 물류 네트워크
3) 중국-중동·동부아프리카 경제협력과 해상물류 네트워크
4. 중국과 해상 실크로드 연선 국가의 해운 연계 특징
5. 해상 실크로드 진행과 중국 항구 지위 변화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