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장 프롤로그: 어떤 우정의 비동시성에 대하여
2장 감응의 대기(大氣)와 초험적 경험: 리얼리즘 이후의 유물론적 예술이론을 위하여
1. 리얼리즘의 생명력
2. 감각의 혁명은 왜 실패하는가?
3. 예술과 정치, 혹은 진실성의 문제
4. 분위기, 대상을 둘러싼 대기의 감응
5. 대상의 영혼, 사물의 영혼
6. 초험적 경험과 초월적 경험
7. 창공의 미학과 어둠의 미학
8. 감응의 유물론과 초험적 예술
3장 존재의 목소리와 목소리 없는 존재: 빛의 존재론에서 어둠의 존재론으로
1. 존재의 목소리?
2. 선험적 시야와 초험적 경험
3. 빛의 존재론과 어둠의 존재론
4. 존재, 세계 바깥의 어둠
5. 존재, 긍정적 무규정성
6. 존재의 정복불가능성
7. 존재의 비밀
4장 미지(未知)의 존재와 해방: 존재론은 어떻게 해방을 사유하는가?
1. 존재와 존재자의 존재
2. 존재의 언어와 사유의 문법
3. ‘있다’와 ‘이다’
4. 말할 수 없는 것
5. ‘존재 없는 존재자’와 ‘존재자 없는 존재’
6. 알려지지 않은 자의 자서전
7. 존재자의 존재를 본다는 것
8. 나의 존재와 수많은 ‘나’
9. 공가능한 것과 공가능하지 않은 것
10. 대지의 책략, 혹은 존재론적 해방
5장 특이점의 존재론: 특이점과 존재의미
1. ‘엉터리’와 낯선 자전의 세계
2. 특이점과 특이성
3. 특이점과 존재의미
4. 사건과 특이성
5. 존재감과 물음의 특이성
6. 서사적 세계와 특이점들
7. 문학적 세계와 특이점
8. 배신의 존재론과 ‘보이지 않는 인간’
9. 존재의 어둠 속으로
10. 백색의 어둠, 혹은 검은 돌 흰 돌
6장 불러냄과 불러들임: 존재론은 예술을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1. 초험적 경험과 불러냄
2. 불러냄의 존재론
3. 사물의 감정, 도시의 감정
4. 부재하는 언어의 불러냄
5. 부재하는 사건의 불러냄
6. 불러냄과 불러들임
7장 에필로그: “바다는 무섭다. 모든 고래는 무섭다”
1. 바다의 천사
2. 연오랑과 세오녀
3. 왜구들의 동아시아
4. 해적들의 시대, 고래들의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