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프롤로그
1 알파하우스의 시대
다양성의 사회 그리고 알파하우스
‘제3의 공간’으로서의 알파하우스
규정되지 않은 공간의 가능성
주말 주택 vs 알파하우스
‘어떻게 살 것인가’를 보여주는 공간
2 수헌‘정亭’이 되기까지
우리 시대의 정자
누정 건축을 방문하다
가사 문학의 산실이 된 정자
학문과 강학의 공간: 정자와 서당
분채의 미학 그리고 리트릿과 살롱 문화
보다 적은 것이 보다 많은 것이다
3 알파하우스의 새로운 의미
공간의 재구성
SPACE 1 대청마루
SPACE 2 현관
SPACE 3 응접실
SPACE 4 거실
SPACE 5 주방
SPACE 6 식사 공간
SPACE 7 서재
SPACE 8 안방
SPACE 9 계단
SPACE 10 발코니
SPACE 11 창과 조명
4 수헌정의 건축 공간과 이론적 배경
일반인을 위한 건축 이야기
수헌정의 또 다른 명칭: LEANING HOUSE
건축에서의 형태와 긴장감
구축의 방식
기울어진 형태와 유기적인 공간
5장 수헌정에 살아보며
STORY 1 기울어진 집: 다양한 높이의 공간
STORY 2 스펙터클한 홀 공간
STORY 3 안방 한편의 차 마시는 공간
STORY 4 미지의 여유 공간, 다락
STORY 5 경사지에 마련한 지하 공간
STORY 6 미완의 성스러운 공간
STORY 7 남겨진 과제: 건축과 미술의 만남
STORY 8 다시 홑집에 살아보다
STORY 9 빛과 그림자를 새롭게 깨닫다
STORY 10 텃밭을 가꾸며 전원에 살다
STORY 11 집을 기록하다
에필로그
아버지의 이야기
아들의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