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01 통역학
Ⅰ. 통역학이란
1. 정의와 범주
2. 타학문과의 관계
Part 02 통역학 역사
Part 03 통역학: 경험에서 출발하다
Ⅰ. 통역이론의 양대 산맥
1. 의미통번역론(théorie du sens)
2. 일반통번역론(Allgemeine Translationstheorie)
3. 의미통번역론과 일반통번역론의 비교
Ⅱ. 다양한 통역이론
1. 통역 정의론
2. 통역 유형론
3. 통역상황의 변수
4. 통역 기술론
5. 통역사
6. 통역 교수법 및 통역학 교수법
7. 통역역사 연구
<참고 1> 지역사회통역
1. 정의 및 용어
2. 지역별 역사 및 현황
3. 종류
4. 문제점 및 향후 전망
5. 학술연구
<참고 2> 수화통역
1. 수화와 수화통역
2. 지역별 역사와 현황
3. 문제점
4. 학술연구
Part 04 통역학: 다른 학문과 만나다
Ⅰ. 순수 언어학
1. 순수 언어학이란
2. 통(번)역학과 순수 언어학
Ⅱ. 텍스트언어학
1. 텍스트언어학이란
2. 통(번)역학과 텍스트언어학
3. 통역물 평가
Ⅲ. 심리언어학, 인지언어학
1. 심리언어학이란, 인지언어학이란
2. 통역학과 심리언어학, 인지언어학
3. 심리언어학 및 인지언어학적 통역모델
Ⅳ. 신경언어학
1. 신경언어학이란
2. 신경언어학의 연구방법
3. 신경언어학적 연구
4. 통역학과 신경언어학
Ⅴ. 컴퓨터언어학
1. 컴퓨터언어학이란
2. 컴퓨터와 언어, 그리고 통번역
3. 심리, 인지언어학-신경언어학-컴퓨터언어학
Ⅵ. 사회언어학
1. 사회언어학이란
2. 통(번)역학과 사회언어학
Ⅶ. 기호학
1. 기호학이란
2. 통(번)역학과 기호학
Ⅷ. 사회학, 문화학
1. 사회학이란, 문화학이란
2. 통(번)역학과 사회학, 문화학
3. 사회학-사회언어학-문화학-인류학-민족지학-그리고 철학
Part 05 한국의 통번역 연구
참고문헌
부록
인명색인
용어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