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은 분노와 슬픔이라는 정서를 동반한다. 폭력의 확산과 더불어 분노는 또 다른 분노로 이어지고, 상처는 또 다른 상처를 낳는다. 우리를 폭력 안으로 밀어 넣는 근본적인 원인을 살펴보고, 이에서 탈출하기 위한 길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목차
들어가며
1. 사이코패스, 공감의 소멸 2. 성(性)과 사랑, 여성과 자연 3. 자연과 자본 4. 신자유주의와 폭력 5. 학교 폭력, 사회적 위계화와 자본 욕망 6. 정서의 힘과 폭력의 순환 : 우리는 어떻게 폭력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을까? 7. 평등과 평화, 그리고 자연 안에서 하나됨
참고 문헌
서가브라우징
나는 아이 없이 살기로 했다 : 아이 없는 삶을 선택한 작가 16인의 이야기2016 / 지음: 메건 다움 ...[외] ; 옮김: 김수민 / 현암사
둘이면 충분해2013 / 지음: 로라 스콧 ; 옮김: 이문영 / 빅북
나는 어느 나라 사람인가요? : 아름다운 공존을 위한 다문화 이야기2016 / 지음: 김미현, 박산하, 홍상만 / 꿈결
증오하는 인간의 탄생 : 인종주의는 역사를 어떻게 해석했는가2019 / 지음: 나인호 / 역사비평사
세습 중산층 사회 : 90년대생이 경험하는 불평등은 어떻게 다른가2020 / 지음: 조귀동 / 생각의힘
중산사회 : 중국의 계층분화와 중산계급의 형성2015 / 지음: 김옥 / 역락
거대한 불평등 :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2017 / 지음: 조지프 E. 스티글리츠, 옮김: 이순희 / 열린책들
소리 없는 우리의 폭력 : 폭력의 순환으로부터 탈출하기2018 / 지음: 고김주희 / 좋은땅
식량 주권 빼앗겨도 좋은가? : 농촌 위기와 시인 김남주 이야기2014 / 지음: 김덕종, 손석춘 / 철수와영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