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국어학, 언어학, 고전문학 전문 출판사 역락에서 이경의 사 34수와 함께 그간 번역되지 못한 그의 아버지 이욱의 4수까지 담은 남당이주사를 펴냈다. 중국남경대학에서 고전문학을 전공하고 한동대 객원교수로 재직 중인 권용호 교수와 윤희순 시인이 함께 번역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일러두기
남당이주사 해제
남당 중주 이경의 사
1. 응천장(應天長) 저녁 희미한 달빛 어린 거울 앞에 앉아
2. 망원행(望遠行) 섬돌 가 핀 꽃들
3. 완계사(浣溪沙) 진주 발 옥고리에 거니
4. 완계사 연꽃 향기 다한 푸른 잎 시들 듯
남당 후주 이욱의 사
1. 완계사(浣溪沙) 중천에 벌써 해 떴어도
2. 일곡주(一斛珠) 아침 화장 끝낸 뒤
3. 옥루춘(玉樓春) 저녁 화장하고 난 뒤
4. 자야가(子夜歌) 봄 찾으려면 봄보다 서두르고
5. 보살만(菩薩蠻) 꽃 피고 희미한 달빛에
6. 보살만 봉래원 한적한 곳의 선녀
7. 보살만 동황의 청아한 소리
8. 희천앵(喜遷鶯) 새벽 달 지고
9. 채상자(采桑子) 정자 앞의 봄은
10. 장상사(長相思) 청자색 인끈으로 묶어 올린 머리에
11. 어부(漁父) 운치 있는 낭원엔
12. 어부 봄바람에 노 하나
13. 도련자령(搗練子令) 적막한 마당
14. 사신은(謝新恩) 화려한 창 아래
15. 사신은 진루에서 퉁소 불던 여인 어디 갔는가
16. 사신은 앵두꽃 다 지고 계단 앞엔 달빛 가득
17. 사신은 손님 떠나간 뒤의 텅 빈 정원
18. 사신은 앵두꽃 다 지고
19. 사신은 저무는 가을 풍광 붙잡을 수 없고
20. 완랑귀(阮郞歸) 해질 무렵 봄바람 부는 강가
21. 청평악(淸平樂) 이별 뒤의 봄 반이나 지났어도
22. 채상자 두레박 걸린 우물가
23. 우미인(虞美人) 봄바람 뜰에 불어오니 풀들 우거지고
24. 오야제(烏夜啼) 어젯밤엔 비바람 불고
25. 임강선(臨江仙) 앵두 다 떨어지고 봄은 가는데
26. 파진자(破陣子) 사십년 이어온 나라의
27. 망강매(望江梅) 꿈속 저 먼 곳
28. 망강남(望江南) 얼마나 한스러워했든지
29. 오야제 숲의 꽃엔 붉은 기운 지니
30. 자야가 인생의 근심 걱정 어찌 피할 수 있으리
31. 낭도사(浪淘沙) 지난날 생각하면 애통해
32. 우미인 봄풀과 가을 달 언제 다하고
33. 낭도사령(浪淘沙令) 발 너머 비는 주룩주룩
34. 오야제 말없이 서쪽 누대 오르니
후기_작품 앞에서 하루를 응시하고 지낸 날들.....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