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이 넘는 연구를 진행하면서 세계 각지의 가짜뉴스 현장을 철저하게 조사하고 수많은 관계자와 전문가들을 인터뷰했다. 논란 역시 많았지만 수십 회에 이르는 청문회와 공론화 과정을 거치면서 치열하게 논쟁을 벌였다.
목차
01. 이젠 가짜뉴스가 아니라 허위정보다 1. 가짜뉴스의 등장과 유사 사례들의 기원 2. 가짜뉴스의 개념과 그 모호성 3. 허위정보로의 전환 배경과 그 개념
02.허위정보는 왜 그렇게 빨리 확산되는가? 1. 정보 환경의 변화와 소셜 미디어 및 1인 미디어의 확산 2. 뉴스 플랫폼의 다변화와 전통적 뉴스 미디어의 신뢰도 하락 3. 정보 과다로 인한 주의 집중력 저하와 인지적 편향성 심화 4. 수익성 있는 비즈니스로서의 잠재력 5. 비판적 사고가 배제된 실용주의 중심의 교육 환경 6. AI를 이용한 딥페이크 등 무한 복제 기술의 발전
03.허위정보의 현재적, 잠재적 영향은? 1. 확증편향과 집단적 배타 의식 증폭 2. 사회적 양극화에 따른 증오와 갈등의 확산 3. 여론, 선거 등 집합적 의사 결정의 왜곡 4. 정부, 언론, 전문가 등 사회적 기구에 대한 불신 심화 5. 민주주의 그 자체에 대한 위협
04.세계는 허위정보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1. 영국의 허위정보 현황과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권고안 2. 프랑스의 정보 조작 대처법과 정책 권고안 3. 독일의 네트워크 법집행법의 세부 내용과 최근 동향 4. 미국의 허위정보 해결을 위한 정책 백서와 규제 동향 5. 싱가포르 온라인 허위정보 해결을 위한 공론화 모델과 정책 방향 6. 스웨덴의 허위정보 대응 매뉴얼 7. 유럽연합의 온라인 허위정보 대책
05.팩트체크는 누가, 어떻게 하고 있는가? 1. 팩트체크의 의미와 세계적 동향 2. 세계 각국의 주요 팩트체크 기관들
06.허위정보에 대응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정책 1. 허위정보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의미 2. 영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원리를 적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정책 동향 3. 프랑스의 미디어 리터러시 공교육화를 위한 세부 지침들 4.. 미국의 주 교육법 개정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공교육화 현황 5. 싱가포르의 미디어 리터러시 공교육화 프레임워크 6. 유럽연합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정책 방향과 세부 지침들
07.스무고개로 넘는 허위정보 판별 가이드 1.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 원리를 적용한 허위정보 판별 2. 스무고개로 넘는 허위정보 판별 가이드
서가브라우징
늦어서 고마워 : 가속의 시대에 적응하기 위한 낙관주의자의 안내서2017 / 지음: 토머스 프리드먼, 옮김: 장경덕 / 21세기북스
지금 다시 계몽 2021 / 지음: 스티븐 핑커 ; 옮김: 김한영 / 사이언스북스
밀레니얼 선언: 완벽한 스펙, 끝없는 노력 그리고 불안한 삶 2019 / 지음: 맬컴 해리스, 옮김: 노정태 / 생각정원
(미리 가본)내일의 도시 : 기술은 우리의 생활과 직업을 어떻게 바꿀까2019 / 지음: 리차드 반 호에이동크 ; 옮김: 최진영 / 세종서적
수축사회 : 성장 신화를 버려야 미래가 보인다2018 / 지음: 홍성국 / 메디치미디어
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 세대 및 젠더 갈등의 사회적 맥락 2022 / 지음: 홍찬숙 / 세창
외롭지 않을 권리: 혼자도 결혼도 아닌 생활동반자2020 / 지음: 황두영 / 시사in북
세계는 왜 가짜뉴스와 전면전을 선포했는가? : 허위정보의 실체와 해법을 위한 가이드2018 / 지음: 황치성 / 북스타
This is 방탄DNA : 방탄소년단 콘텐츠와 소셜 파워의 비밀2017 / 지음: 김성철 / 독서광
언컨택트 = Uncontact : 더 많은 연결을 위한 새로운 시대 진화 코드 2020 / 지음: 김용섭 / 퍼블리온
어번던스2012 / 지음: 피터 다이어맨디스, 스티븐 코틀러, 옮김: 권오열 / 와이즈베리
뉴노멀 교양수업 : 10년 후 정치·경제를 바꿀 10가지 핵심 개념 2020 / 지음: 필리프 비옹뒤리, 레미 노용; 옮김: 이재형 / 문예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