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1부 애도와 소통
애도의 윤리와 소통의 아이러니
뫼비우스의 띠와 제3의 지평 융합 ─ 소통의 수사학
벌거벗은 페르소나와 가해자의 상상력
벙어리 울음과 애도의 지연 ─ 이동하의 『장난감 도시』 다시 읽기
거울의 심연 ─ 오정희 문학 50년 다시 읽기
역사적 상처와 서정적 치유 ─ 임철우의 소설
‘숨은 아버지’의 역설
고통의 역설과 상상의 향유 ─ 20세기 후반 한국 문학의 표정
2부 비행운의 꿈과 허공의 만돌라
진실의 숨결과 서사의 파동 ─ 한강론
비루한 운명의 볼록 렌즈 ─ 천운영론
포스트잇의 언어로 지하철 타기 ─ 김애란론
비행운의 꿈, 혹은 행복을 기다리는 비행운 ─ 김애란과 그 막막한 친구들
수사학 시대와 독백의 다성성 ─ 한유주의 『달로』
허공의 만돌라 ─ 김성중의 『개그맨』
3부 난장의 문화 공학
난장의 문화 공학과 그 그림자 ─ 최제훈의 『퀴르발 남작의 성』
삐딱한 욕망의 카니발 ─ 이기호의 『최순덕 성령충만기』
악몽의 탈주와 혼돈의 수사학 ─ 박형서의 『토끼를 기르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것들』
달리와 달리 ─ 원종국의 『그래도』
‘한 박자 쉬고’, 그 시간의 대화 ─ 백가흠의 『사십사』
도서관 작가와 콜라주 스토리텔링 ─ 정지돈 소설에 다가서기
4부 방법적 어스름
어스름의 시학 ─ 정현종의 『견딜 수 없네』
안과 밖의 경계를 넘어서 ─ 황지우의 선(禪)적 낭만주의와 혼성 시학
절망의 검은 심연, 노래의 푸른 이랑 ─ 송재학의 『푸른빛과 싸우다』
고비의 내림굿 ─ 양진건의 『귀한 매혹』
5부 소통의 비평
자유의 스타일, 스타일의 자유
탈구성적 서사와 탈구성적 소통 ─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수용의 문제성
위기의 담론, 혹은 대화적 읽기의 진정성 ─ 김병익의 ‘자본-과학 복합체’ 시대의 비평 논리
비평의 소통, 소통의 비평
한국 문학, 무엇으로 소통할 것인가
수록 평론 발표 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