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바뀌고 있는 물류환경을 반영하고, 디지털 공급사슬 등 미래기술 부분을 보완한 제3판이다. 우선 물류와 SCM의 개념과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 물류의 구성요소, 재고관리, 글로벌 운송관리, 해상물류, 국제물류거점, 창고관리 및 하역, 반입물류 등을 다루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PART Ⅰ 개념 및 전략
Chapter 01 물류와 SCM의 개념
1. 물류와 로지스틱스
2. 물류개념의 발전
3. 공급사슬관리의 개념
4. 물류활동
Chapter 02 물류, 기업 경쟁우위의 원천
1. 물류와 경쟁우위
2. 고객지향 공급사슬, 경쟁우위의 새로운 원천
3. 경영상 물류관심 고조 이유
Chapter 03 공급사슬관리
1. 공급사슬관리
2. 공급사슬과 공급사슬관리
3. 공급사슬관리와 로지스틱스
4. 공급사슬관리의 효과
5. 공급사슬관리의 장벽
6. 정보공유
7. 공급사슬에서의 역할분담 재구축
Chapter 04 고객서비스
1. 물류시스템에서의 고객서비스
2. 고객서비스의 의미
3. 고객서비스의 특성
4. 고객서비스의 목표 설정
5. 고객서비스 향상의 장애요인
6. 시장별 고객서비스 개발
Chapter 05 통합물류
1. 총비용분석
2. 물류활동 간의 통합
3. 기업활동과의 통합
4. 공급사슬 내 통합
Chapter 06 물류와 SCM 전략
1. 기업 전략계획
2. 전략계획 수립 기법
3. 물류 전략계획
4. 공급사슬 전략
5. 물류에 영향을 미칠 향후 이슈
PART Ⅱ 공급사슬 및 물류관리
Chapter 07 물류의 구성요소 및 네트워크
1. 운송 활동
2. 보관 활동
3. 포장 활동
4. 하역 활동
5. 유통가공 활동
6. 물류정보 활동
7. 물류네트워크
Chapter 08 재고관리
1. 재고관리의 의미
2. 재고와 고객서비스
3. 재고의 유형 및 기능
4. 적정재고와 재고비용
5. 재고모델
6. ABC 재고분석
7. 재고관리 문제점
8. 재고관리 개선방안
9. 공급사슬 재고관리 전략
Chapter 09 운송시스템
1. 전략적 측면의 화물운송
2. 운송의 기능
3. 운송수단
4. 복합운송
5. 운송산업의 규제완화 및 민영화
6. 운송에 있어 정부의 역할
Chapter 10 운송관리
1. 운송관리의 당면과제
2. 운송관리시스템
3. 운송인의 선정
4. 운송운임 결정
5. 운송관련 서류
Chapter 11 해상물류
1. 해상운송
2. 컨테이너 해상운송
3. 해상물류와 공급사슬
4. 글로벌리제이션과 해운산업 경쟁심화
5. 초대형 컨테이너선 시대
6. 화주위주의 해운정책
Chapter 12 국제물류거점
1. 국제물류거점 형태
2.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
3. 물류 노드
4. 국제 분업과 항만
5. 물류거점으로서의 항만
6. 항만배후단지
7. 자유무역지대와 항만도시
Chapter 13 창고, 물류센터
1. 물류거점으로서의 창고시설
2. 창고 내 화물 흐름
3. 물류혁신과 창고
4. 물류센터 입지
5. 창고 유형
Chapter 14 창고관리 및 하역
1. 창고 설계시 고려사항
2. 창고관리시스템
3. 창고통제시스템의 기능
4. 재래 하역방식과 자동하역시스템
5. 하역시스템의 목적과 선택
6. 스마트 물류창고
Chapter 15 반입물류, 조달
1. 조달물류의 중요도 증가
2. 조달물류 활동
3. 총소유비용의 최소화
4. 조달구매의 기능 및 통합
5. 공급업체와의 관계 및 선정기준
PART Ⅲ 물류관리 이슈
Chapter 16 물류원가분석
1. 물류원가분석의 중요성
2. 기업물류비 산정
3. 물류시스템 재검토로 물류비용절감
4. 활동기준 원가계산
5. 고객별 물류 채산성 분석 가능
6. 물류 활동기준관리
Chapter 17 물류표준화와 공동화
1. 물류표준화와 유닛 로드 시스템
2. 일관 파렛트화
3. 파렛트 풀 시스템
4. 물류공동화
Chapter 18 물류정보시스템
1. 정보시스템
2. 물류정보
3.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성
4. 의사결정지원시스템
5. 공급사슬통신시스템
Chapter 19 전자상거래
1. 전자상거래
2. 전자상거래 유형
3.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
4. 전자상거래 효과 및 영향
5. 주요국의 전자상거래 현황
Chapter 20 전문 물류서비스 제공자
1. 물류서비스 제공자
2. 제3자 물류서비스 제공자 정의
3. 3PL의 등장 배경, 특징
4. 3PL 사업자의 물류지원
5. 3PL 아웃소싱 분야
6. 3PL 아웃소싱 과정
7. 3PL 도입 지연 이유
8. 글로벌 3PL 물류기업
9. 국내 제3자 물류기업 현황
10. 국내 제3자 물류 산업의 문제점
Chapter 21 수요관리
1. 물류에서 수요관리의 중요성
2. 수요예측 방법
3. 수요 공급 동기화
Chapter 22 물류보안
1. 공급사슬에서의 물류안전, 보안 위험
2. 물류보안제도
3. 민-관 협력 물류보안
4. 100% 사전검색
PART Ⅳ 미래 물류관리 과제
Chapter 23 디지털 공급사슬과 미래 물류
1. 미래 물류트렌드와 공급사슬의 변화
2. 미래 물류산업의 변화추이와 기술발전
3. 공급사슬에 미치는 미래 물류기술의 영향
Chapter 24 해운항만물류의 미래과제
1. 해상운송산업과 공급사슬 리스크
2. 해운 환경변화
3. 항만 환경변화
Chapter 25 공급사슬위험관리
1. 공급사슬위험 증대와 관리 필요성
2. 공급사슬위험의 유형
3. 공급사슬위험관리 전략
Chapter 26 녹색물류
1. 친환경 녹색물류
2. 기업의 지속가능 경쟁력
3. 녹색물류의 실행
4. 친환경 트럭운송 대책
5. 해운 항만부문 녹색물류과제
6. 회수물류
용어(Glossary)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