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선 국왕의 리더십과 소통 2권. 이 책의 검토 대상은 '국왕', '문관', '무관', '공신', '친인척'으로서, 이들은 명실상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지배층이었다. 조선시대 정치안정은 바로 이들 지배층의 소통과 불통에 직결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목차
서언
국왕과 지배층의 소통과 불통 · 7
1부
국왕과 문관의 소통 구조 · 21
Ⅰ. 관료 체제 속의 소통 구조 23
1. 경관 체계와 소통 구조25
2. 외관 체계와 소통 구조 36
Ⅱ. 국왕과 문관의 공적 소통 구조 41
1. 조회(朝會)42
2. 윤대(輪對)47
3. 외관 인견(引見) 54
Ⅲ. 경연(經筵)을 통한 소통 구조 63
1. 경연 규식65
2. 경연 내용76
Ⅳ. 언로를 통한 소통 구조 85
1. 차자(箚子)86
2. 구언(求言)89
3. 유소(儒疏)93
2부
국왕과 무관의 소통 구조 · 99
I. 군사제도 속의 소통 구조 101
1. 국왕과 오위제 체제101
2. 국왕과 오군영 체제113
Ⅱ. 군사권 발휘를 통한 소통 구조 123
1. 발병부(發兵符)의 이용123
2. 선전관(宣傳官)의 파견과 활용 133
3. 열무(閱武)와 진법 훈련143
Ⅲ. 격려와 시험을 통한 소통 구조 152
1. 호궤152
2. 활쏘기 시험159
3부
국왕과 공신의 소통 구조 · 163
Ⅰ. 국왕과 훈봉공신의 소통 구조 165
1. 공신의 개념과 종류165
2. 훈봉공신의 책봉170
3. 회맹제와 회맹연179
Ⅱ. 국왕과 배향공신의 소통 구조 197
1. 종묘와 문묘의 제향197
2. 불천위와 치제(致祭)218
4부
국왕과 친인척의 소통 구조 · 231
I. 국왕과 종친의 소통 구조233
1. 국왕과 종친의 관계233
2. 봉작(封爵)240
3. 왕실 시위(侍衛)261
4. 진연(進宴)?진찬(進饌)273
Ⅱ. 국왕과 의빈?외척의 소통 구조 283
1. 문후(問候)와 하례(賀禮)284
2. 선물[物膳]과 증여293
5부
복식으로 본 국왕과 양반의 소통 구조 · 305
I. 관복을 통한 소통 구조307
1. 구장복과 칠장복, 제복309
2. 강사포와 조복347
3. 곤룡포와 흑단령, 상복360
4. 군복과 융복381
5. 적의, 예복388
Ⅱ. 선물과 잔치를 통한 소통 구조 399
1. 이엄403
2. 표리410
3. 잔치 419
참고문헌 · 430
색인 ·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