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글
1부 로컬 지향의 문화원을 위하여
로컬 지향의 문화원을 위하여 / 고영직
[기획대담] 지역문화 분권시대에 지방문화원을 고민하다 : ‘문화비전2030’의 지역문화정책과 지역의 준비 태세를 논하다 / 차재근, 고영직, 최영주
지방문화원인가, 지역문화원인가: 자치분권 시대 문화원이 나아갈 길 / 염신규
지방문화원, 이제 지역문화 플랫폼으로 전환해야 한다 / 이랑
'삶터’가‘ 일터’가 되는 로컬을 고민하다 : 일본 야와지시마 ‘히타라쿠 가타치 연구섬’ 사례를 중심으로 / 경기도문화원연합회
2부 향토문화의 개념 재정립을 위하여
향토학의 지방주의를 넘어서 / 구모룡
[대담] 경기지역 향토문화의 발전 방향 모색 / 신동호, 고영직
전통문화인가, 향토문화인가 : 경기 향토문화연구의 패러다임 변화를 위하여 / 최영주
박제된 향토사를 소생시키는 또 하나의 방법 : 부산 지역의 지리와 역사를 되살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이상섭
지역에서 향토문화연구를 한다는 것 / 신대광
‘향토음식’, 과연 존재하는가? / 주영하
3부 생활문화, 지방문화원은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가, 해야 하는가
너, 아무데서나, 실체도 없는 생활문화 아니니? / 이동준
지역 정체성 살리는 선순환 생활문화 사업을 위하여 / 허준구
생활문화, ‘인간 중심의 문화’와 동의어(同義語) / 이초영
[집담회] 생활문화, 지방문화원은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가, 해야 하는가(1) / 고영직, 박성희, 박정근, 이동준, 정민룡, 최영주
[집담회] 생활문화, 지방문화원은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가, 해야 하는가(2) / 고영직, 서교송, 오민영, 이동준, 이병권, 정민룡, 최영주
개인 여가에서 사회적 여가로 : ‘공공의 거실, 문화 거실’을 제안하며 / 정민룡
보론: 거실혁명은 가능하다 / 고영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