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비평 언어의 매혹
제1장 문학이론이란 무엇인가
제2장 신비평
비평의 객관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의도론의 오류와 영향론의 오류
내재적(intrinsic) 비평
“잘 빚은 항아리(well wrought urn)”?자족적 유기체로서의 시(문학 텍스트)
꼼꼼히 읽기(close reading) 그리고 시적 언어의 특수성-패러독스, 아이러니, 긴장, 모호성
미국 신비평은 어떤 배경에서 나왔는가
제3장 러시아 형식주의
역사와 배경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일상 언어와 시적 언어
낯설게 하기
파블라(스토리)와 슈제트(플롯)
모티프와 동기화
장치에서 미적 기능으로
후속 논의들
제4장 구조주의
구조란 무엇인가
구조언어학
구조인류학
구조주의 문학이론
블라디미르 프로프
A.J. 그레마스
츠베탕 토도로프
남는 문제들
제5장 바흐친 학파
들어가며
프로이트주의 비판
형식주의와 구조언어학 비판, 그리고 마르크스주의 언어 철학
다성성, 대화적 상상력, 이어성
유쾌한 상대성, 카니발의 세계
바흐친 학파가 이룬 것과 남긴 것들
제6장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와 엥겔스
사회주의 리얼리즘: 민중성, 당파성, 세계관 그리고 창작방법
계급성, 당파성 그리고 민중성
세계관과 창작방법
리얼리즘 그리고 예술형식의 문제: 루카치와 브레히트
구조 혹은 탈중심화된 텍스트: 골드만, 알튀세, 그리고 마슈레
프랑크푸르트학파: 아도르노와 벤야민
현대 마르크스주의 문학이론: 이글턴과 제임슨
마르크스주의의 효과, 그리고 남는 문제들
제7장 포스트구조주의
고정된 의미는 없다
공리들을 의심하기
롤랑 바르트
자크 데리다
자크 라캉
미셸 푸코
들뢰즈와 가타리
포스트구조주의의 함의
제8장 탈식민주의
프란츠 파농
에드워드 사이드
호미 바바
가야트리 스피박
제9장 독자반응비평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
볼프강 이저
스탠리 피쉬
조너선 칼러
롤랑 바르트
제10장 페미니즘
버지니아 울프
시몬 드 보부아르
케이트 밀렛
일레인 쇼월터
줄리아 크리스테바와 뤼스 이리가레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