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기획의 말
0. [좌담] 3·1운동 100주년이 말하는 것들
3·1운동과 촛불의 마주보기
3·1운동인가, 3·1혁명인가
임시정부 100주년의 정치성
3·1운동은 남과 북의 공유자원이 될 수 있을까
3·1운동의 세계사적 의미에 대하여
민족자결과 공화의 정신
3·1운동은 실패인가, 성공인가
1. 3·1운동과 깃발: 만세시위의 미디어 / 이기훈
3·1운동 풍경의 역사적 의미
선언서 네트워크와 깃발/격문 네트워크
만세시위의 양상과 미디어의 유형
운동자들과 정체성의 구현: 깃발의 선언성
3·1운동과 미디어
2.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3·1운동 기억’: 4·19혁명에서 6월항쟁까지 / 오제연
기억을 통한 3·1운동의 현재화
4·19혁명과 ‘3·1운동 기억’
5·16쿠데타 이후 ‘3·1운동 기억’의 경합
1980년대 ‘3·1운동 기억’의 연속과 단절
촛불혁명 후 ‘3·1운동 기억’의 재구성을 위하여
3. 3·1운동과 감옥에 갇힌 여성 지식인들: 최은희의 자기서사와 여성사 쓰기 / 장영은
여성의 몫과 글쓰기
여성이 여성의 투쟁사를 수집
여성은 전진하고 있는가
4. 3·1절과 ‘태극기 집회’: 잃어버린 민중의 기억 / 김진호
극우 개신교, 2018년 3·1절 광장예배를 준비하다
망각의 역사와 근본주의 신앙
‘3·1절’의 재기억화와 반공주의
광장예배 실패, 그 이후: 공적 기억의 쇠락과 ‘잃어버린 민중의 기억’ 소환
5. 민족문학의 ‘정전 형성’과 3·1운동: 미당 퍼즐 / 강경석
새로운 주인공
3·1운동과 점진혁명
문학의 ‘자율성’과 ‘자치’의 역설
다시, 미당 근처
미당 바깥
6. 3·1운동의 한세기: 20세기의 비전과 한반도 평화 / 김학재
3·1운동의 국제적 맥락
지구적 순간들과 지정학적 배경
세계사와 민족사의 결정적 조우
미완의 과제 3·1운동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