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농촌과 농업을 분리하여 투자하자
1. UR 이후 정부의 농업예산과 정책은 지금 농촌과 농업을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만들었는가?
2. 농업관련 기관과 대학 학과를 통·폐합하여 기초연구분야와 응용산업분야로 나누어 미래농업의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키자
2.1 네델란드 WUR(Wageningen University & Research)연구소의 경쟁력
3. 세계에서 경쟁력 있는 협동조합은 품목별 협동조합이다
3.1 폰테라 협동조합(Fonterra Cooperative Group)
3.2 브르타뉴왕자(Prince de Bretagne)
4. 연해주와 동몽골의 광활한 대지에 농지 확보와 축산업으로 농업의 국제경쟁력을 키우자
5. 학력과 학벌이 필요 없는 현장학습중심의 귀농대학
5.1 모쿠모쿠농장의 농학사제도
6. 농업경제특구지역으로 미래농업을 준비하자
6.1 일본 니가타시 농업경제특구정책
6.2 코카콜라와 농민들 간의 상생협력
6.3 Double A사와 농민들 간의 상생협력
7. 농산물유통직거래센터의 기능과 효과
7.1 일본의 농산물 직판소(Farmers Market)
7.2 농업타운 겐키노사토
7.3 일본 (주)농업종합연구소
7.4 중국 알리바바의 타오바오촌(淘寳村)
7.5 유기농산물 수직계열화 영농법인: 학사농장
7.6 로컬푸드운동과 생산적 농촌복지모델: 완주군 로컬푸드
8. 미래 농산물유통 Farm to Home 플랫폼
8.1 신선식품 모바일장터: 京东生鲜 JD Fresh
8.2 신선식품 모바일장터: 盒马鲜生(Hema Xiansheng)
8.3 신선식품 모바일장터: 마켓컬리
9. 지속가능한 관광농원 활성화로 농가소득을 향상시키자
9.1 경관농업: 팜 도미타(ファーム富田)
9.2 농업테마파크: 이가노사토 모쿠모쿠 데즈쿠리팜(伊賀の里 モクモク手づくりファーム)
9.3 고창 청보리밭 축제
10. 전국 고속도로휴게소를 지역농민들의 농산물과 토속음식 판매장으로 활용하자
10.1 일본 미치노에키의(道の駅)의 탄생과 진화
10.2 하이웨이 오아시스
10.3 프랏토 파크(ぷらっとパーク, plat park)
11. 학교, 의료, 문화 및 공동체의식 수준을 높여야 살고 싶은 농촌을 만들 수 있다
11.1 가와바 전원플라자(川場田園プラザ)
11.2 세시풍속 문화콘텐츠로 농촌문화를 부흥시키자
11.3 충남 홍성군의 홍동마을
11.4 선진유럽 독일의 농촌·농업정책 원칙
11.5 농촌지역에 원격진료 가능한 첨단이동식 병원차량을 지원하자
제2장 미래농업
1. 4차 산업혁명시대의 농업
2. Vertical Farm(공장형농장)
2.1 Vertical Farm: AeroFarms
3. Robot농군 무인농장시대
3.1 축산혁명: 네덜란드 Lely
3.2 영국 농업로봇: Small Robot Company
3.3 일본과 각 나라의 농업로봇
4. 종자산업
5. 종자산업의 핵: 유전자가위기술과 변형기술
6. 3D 푸드프린팅과 식품보존기술
6.1 3D Food Printing
7. 발효산업
7.1 덴마크 생명공학 효소기업: 노보자임
7.2 CJ제일제당의 그린바이오산업
7.3 효소기업: 아이코젠
7.4 레스토랑 Noma
8. 미래의 식량, 곤충산업
8.1 캐나다 곤충식품기업: Crickstart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