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양보전생태학 = Marine conservation ecology : 현명한 바다 이용
발행연도 - 2015 / 지음: 마츠다 히로유키 ; 옮김: 홍선기, 김재은 / 자연과생태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45469
-
ISBN
9788997429547
-
형태
175 p. 27 cm
-
한국십진분류
자연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카테고리분류
과학/기술
>
지구과학
>
해양과학
책소개
바다 자원을 현명하게 이용하기 위한 제안. 고래나 참치, 고등어, 꽁치, 멸치 등 익숙한 어족자원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해양환경, 생태계, 어장 관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보전과 어획 전략에 관한 국제적인 최신 경향도 소개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원서 서문
역자 서문
제1장 해양보전생태학: 어업관리와 해양보전
1.1 어업과 생태계관리
1.2 얼마나 포획하면 남획이 되는가
1.3 멸종 위험과 수산자원
1.4 순응적 관리와 과학자의 역할
제2장 바다의 생물다양성: 자원관리와 보전
2.1 다랑어: 워싱턴조약과 수산자원
2.2 고래: 생태학으로 본 포경 논쟁
2.3 멸치와 고등어: 다획성 부어자원의 대변동
2.4 야생생물로서의 수산자원: 순응적 관리를 향해
2.5 생물다양성협약과 바다
제3장 바다의 리스크관리: 환경 건강 경제
3.1 야생생물의 리스크관리
3.2 어업의 적절한 관리
3.3 음식문화의 다양성
제4장 해양이론생태학: 최대지속어획량(MSY)의 이념
4.1 생태계의 복잡함과 최대지속어획량의 이념
4.2 게임이론과 자원관리
4.3 게임이론과 환경윤리
4.4 수리모델과 생태학
제5장 해양생태계관리: 해역환경의 보전
5.1 비정상계로서의 해양생태계
5.2 해양생태계의 보전과 관리
5.3 시레토코 세계자연유산과 연안어업의 공동관리
제6장 미래의 해양보전생태학: 해양국가의 역할
6.1 외래종의 생태리스크
6.2 친환경 어업이란
6.3 COP10과 생태리스크의 연계
6.4 COP10과 해양보호구역
참고문헌
찾아보기
같이 빌린 책
해안환경공학
2011 / 김도삼 저 / 구미서관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2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1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