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회통화성(會通化成)의 송시와 선사(禪思)
추천사 폭넓은 시야, 창의적 견해를 담은 선문화 저작
머리말 포전인옥(抛磚引玉), 하나의 벽돌(磚)을 던지다
Ⅰ. 유불융합과 송초 시단
제1장 유불융합과 서곤체, 백체, 만당체
1. 서론
2. 문자선(文字禪)의 흥기와 유불융합
3. 서곤파의 영수 양억과 선종
4. 백체파 왕우칭의 선시
5. 구승(九僧)과 만당체(晩唐體)의 선시
6. 결론
제2장 유불융합과 구양수, 범중엄
1. 서론
2. 문자선과 선종의 입세화(入世化)
3. 구양수의 반불과 친불
4. 구양수와 불문의 교유
5. 구양수 시가와 선종
6. 범중엄과 유불융합
Ⅱ. 문자선의 성행과 북송 중기 시단
제3장 북송 중후기 시단과 문자선
1. 문자선의 연원
2. 문자선의 내용
3. 문자선과 북송 시단
4. 결론
제4장 개혁가 왕안석과 유불융합
1. 서론
2. 왕안석의 불교관
3. 왕안석의 이선입시(以禪入詩)
4. 결론
제5장 동파거사 소식과 문자선
1. 서론
2. 소식 불교의 연원
3. 불법의 수용과정
4. 소식 선시를 통해서 본 행복
5. 소식의 문학이론과 선종
제6장 황정견과 강서선종
1. 서론
2. 황정견과 강서선종의 관계
3. 황정견의 선종 수용 과정
4. 황정견 선시의 유형
5. 황정견 선시(禪詩)의 주제
6. 결론
Ⅲ. 강서시파와 문자선, 간화선
제7장 강서시파의 선시와 이선유시 이론
1. 서론
2. 강서시파와 이선유시 이론
3. 강서시파의 선시
4. 결론
Ⅳ. 간화선과 남송 시단
제8장 간화선의 유행과 남송삼대가
1. 서론
2. 애국시인 육유와 간화선
3. 양만리의 성재체(誠齋體)와 선종
4. 범성대 시가와 선종
Throw out a brick to attract a jade(抛磚引玉)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