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영화에 재현된)가족 그리고 사회 : <미몽>에서 <고령화 가족>까지
발행연도 - 2018 / 지음: 강성률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
-
자료실
[영종하늘]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YS0000040356
-
ISBN
9791155502716
-
형태
358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공연예술 및 매체예술
>
영화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서지/출판
>
책읽기/글쓰기
책소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의 학술 기획 총서 ‘지의 회랑 시리즈 ’의 네 번째. 한국 영화가 다채롭게 재현해온 가족과 여성, 젠더 그리고 세대의 문제를 문화 연구자이자 평론가의 시선으로 면밀하게 분석했다.
목차
책을 열면서
프롤로그|한국 영화사로 본 가족 담론과 영화의 재현
제Ⅰ부 일제 강점기 조선 영화에 재현된 가족 그리고 사회
|제1장| 1930년대 중반 조선 영화에 나타난 가족의 변화
|제2장| 군국주의 이데올로기로 체화된 가족
제Ⅱ부 해방 이후부터 2000년대 전후까지 영화에 재현된 가족 그리고 사회
|제3장| 1950년대 영화의 바람난 부인과 나약한 가부장의 대결
|제4장| 1960년대 초 가족 희극 영화에 나타난 세대교체
|제5장| 1960년대 중반 형성된 강한 가부장제, 그 영화적 재구성
|제6장| 1970년대 청년 영화에 그려진 좌절과 호스티스 영화의 범람
|제7장| 1980년, 성애 영화의 등장
|제8장| 아이엠에프 시기, 가부장 옹호의 물결
제Ⅲ부 2000년대 이후 영화에 재현된 가족 그리고 사회
|제9장| 2000년대 전후한 시기, 가부장의 위기
|제10장| 가부장의 죽음
|제11장| 첫 번째 대안 가족, 여성 공동체 또는 대모 가족
|제12장| 두 번째 대안 가족, 일처다부제
|제13장| 세 번째 대안 가족, 비혈연 가족
|제14장| 네 번째 대안 가족, 동성애 가족
제Ⅳ부 영화 흥행과 가족 재현의 관계
|제15장| 천만 영화의 가족주의와 가부장 재현
|에필로그| 영화에 재현된 가족과 젠더 그리고 사회
주ㆍ참고문헌ㆍ찾아보기
총서 ‘지의회랑’을 기획하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