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말
제1장 한국 교육의 모순과 위기의 원천
1. 한국 사회에서 교육이란?
2. 한국 교육의 모순과 기원
3. 신자유주의체제하에서 교육개혁과 한국 교육의 위기
4. 개혁의 시급성
제2장 5·31교육개혁의 추진과 민주 정부 교육정책의 모순
1. 5·31교육개혁의 의의와 사회적 파장
2. 5·31교육개혁의 추진 배경 -문민정부
3. 5·31교육개혁의 구체화 및 실천 -국민의 정부
4.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모순 심화 및 교육복지 필요성의 증가 -참여정부
5. 5·31교육개혁 추진 과정상의 특징
6. 기로에 선 교육
제3장 영미식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특징과 한국 교육의 문제
1. 이명박·박근혜 교육정책의 이념적 좌표는 어디쯤일까?
2. 실패한 교육개혁 모델 -영미식 신자유주의 교육개혁
3. 생략된 역사 -공교육 확대의 경험
4. 이념만 있고 실용은 없는 정책
제4장 교과이기주의 -교육내용을 둘러싼 그들만의 경쟁
1. 교육내용을 둘러싼 갈등의 심화
2. 교육내용 선정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의 증가
3. 한국 국가교육과정체제의 문제점
4. 대안적 교육과정 개발체제
제5장 한국의 대입제도, 문제의 본질
1. 내신과 수능 -대입시험의 특징과 문제점
2. 입시와 대학경쟁력
3. 잦은 대입제도 변경에도 입시문제가 해소되지 않는 이유
제6장 대안적 대입제도의 모색
1. 주요 선진국의 대학 입시
2. 각국의 대학체제 및 학생 선발 방식
3. 주요 선진국의 사례를 통해 본 대입제도의 세 가지 대안
제7장 초·중등교육 정상화의 조건과 방향
1. 왜 표준성취시험이 문제인가?
2. 현행 초·중등교육의 문제점
3. 초·중등교육의 개선을 위한 입시제도 및 평가제도의 개선 방안
4. 초·중등교육의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체제 개편 방안
5. 초·중등교육의 개선을 위한 교사 연수 및 교육여건 개선
6. 교육개혁의 원칙
제8장 국립대 네트워크 의의와 실현 방안
1. 국립대 네트워크의 의의
2. 국립대 네트워크의 실천상의 쟁점
3. 국립대 네트워크의 기대 효과
4. 국립대 네트워크의 단계적 실현 방안
제9장 근대 이후 한국의 교육운동
1. 일제강점기의 민족주의교육운동
2. 해방 이후의 새교육운동
3. 군사정부의 체제 이념교육
4. 민주화 시대의 참교육
제10장 탈자본주의 사회의 대안 교육
1. 자본주의체제하에서 교육
2. 탕자본주의 사회에서 교육
3. 사회개혁에 있어서 교육의 역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