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 다문화교육연구센터에서 기획.출간된 책으로, 지식의 주관성과 해석을 강조하는 포스트실증주의 입장에서 질적연구를 하는 전통들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
목차
감사의 글 옮긴이의 글
01 공예로서의 질적 연구: 포스트실증주의 전통들과 연구 스타일들 질적 연구의 수행에 존재하는 딜레마들 공예로서의 질적 연구: 연구 전통들과 스타일들 이 책에 관하여
1부 해석주의 전통들 02 상징적 상호작용론: 자아와 의미의 탐구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대한 철학적 영향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일반 개념들 일상적 삶의 상징적 특성 역할, 정체성 그리고 다중적 실재 협상된 질서들 상징적 상호작용론 전통에서의 연구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논쟁들과 새로운 방향들 03 해석학: 텍스트의 해석 철학으로서의 해석학 해석학적 전통에서의 중심 개념들 해석학적 전통내의 연구 04 극작법과 드라마주의: 극장과 무대로서의 사회생활 극작법에 대한 철학적 배경 어빙 고프먼과 극작법 극작법 전통에서 연구하기 케네스 버크와 드라마주의 철학 드라마주의 전통에서 중심 개념 드라마주의 전통 연구하기 05 민속방법론: 평범한 삶의 성취 민속방법론의 이론과 철학 민속방법론의 중심 개념 민속방법론 전통에서의 연구 민속방법론의 공헌과 한계 06 문화기술지: 현지인에 대한 문화적 이해 문화기술지의 인류학적 유산 고전적인 문화기술지의 중심 개념들 개성이 강한 문화기술지 전통 문화기술지 전통에서 연구하기 문화기술지 전통에서의 논쟁과 새로운 방향
2부 심층구조 전통 07 기호학과 구조주의: 사회적 실재의 문법 기호학의 철학 기호학과 구조주의의 중심개념 기호학적 전통에서의 연구 구조주의의 최근 경향과 발전
3부 비판적 전통 08 유물사관: 계급, 갈등 그리고 지배 마르크스의 철학 유물사관의 주요 개념 유물사관론 전통에서의 노동 유물사관에 대한 비판과 논의 09 비판이론: 헤게모니, 지식생산과 의사소통 행위 비판이론의 철학 비판적 이론에서의 중심 개념 비판적 이론 전통 연구하기 비판이론에 대한 논쟁과 새로운 방향 10 페미니즘: 핵심적 사회 원리로서의 젠더 페미니스트 이론과 철학 페미니스트 전통의 중심 개념들 페미니스트 전통에서 연구하기 토론 그리고 페미니스트 전통에의 새로운 방향들 11 구조화 이론과 인간 행동학: 권력의 구조들 속에서 이원론 극복하기 앤서니 기든스와 구조화 이론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의 중요 개념들 구조화주의자 전통에서 연구 사회와 사회 연구에 대한 부르디외의 이해 부르디외의 인간행동학의 중심 개념들 부르디외의 인간행동학의 전통에서 연구
4부 ‘포스트’의 전통들 12 포스트모더니즘: 이미지와 ‘진리’와의 유희 리오타르와 포스트모던 지식 보드리야르와 포스트모던 사회 포스트모던 전통에 대한 연구 포스트모던 전통에서의 비판과 논쟁 13 포스트구조주의: 담론, 영역과 해체 해체 철학 해체의 주요 개념들 푸코의 지식 고고학과 계보학 푸코 포스트구조주의의 주요 개념들 권력과 권력/지식 포스트구조주의 전통에서 연구하기 포스트구조주의 전통에 대한 반응 14 포스트식민주의: 제국주의에 대한 폭로와 저항 포스트식민주의 전통의 등장 포스트식민주의 전통에서의 중심 개념들 포스트식민주의 전통 연구 15 결론: 전통, 즉흥성 그리고 질적 통제 질적 연구에서의 전통과 즉흥성 질적 통제: 개인의 주도권 질적 통제: 문지기 질적 연구를 빚는 즐거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