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장. 본서의 시각과 구성
제1부 헤겔 역사 철학의 성립과 그 배경
제1장 ‘역사에서의 이성’은 인류에 대한 보편타당성을 요구할 수 있는가?
머리말
제1절 1822년도 강의의 기본 전제
제2절 1822년도 강의의 전체 구조
맺는 말
제2장 ‘역사에서의 이성’은 어떻게 유럽에서 실현되었는가?
제1절 발전 단계론적 역사관의 해석 교체
제2절 1822년도 강의의 전체 구조(계속)
제3절 보편타당성 요구의 자기 한정
제3장 세속화 운동으로서의 유럽 근대
머리말
제1절 1830년도 강의 서론에서 자유의 발전의 근거짓기
제2절 1830년도 강의 게르만 세계론에서 자유의 실현 과정
맺는 말
제2부 헤겔 국가론과 법철학 강의
제4장 제국의 붕괴, 라인 동맹 개혁과 국가 주권의 문제
머리말
제1절 1648년 전후의 주권 개념의 수용
제2절 제국 해체기의 주권 개념의 재생
제3절 라인 동맹 개혁기의 주권 개념을 둘러싼 논쟁
제4절 1820년 전후의 주권 개념의 이론적 정식화
맺는 말
제5장 서구 정치사상사에서 헤겔의 국가론
머리말
제1절 서구 정치사상사의 두 개의 콘텍스트
제2절 콘텍스트 속의 헤겔 국가론
맺는 말
제6장 헤겔 법철학 강의를 둘러싼 최근 독일의 논쟁
머리말
제1절 전후 『법철학』 해석의 기본 동향
제2절 제1차 법철학 강의 공간을 둘러싼 논쟁
제3절 제2차 법철학 강의 공간을 둘러싼 논쟁
제4절 회고와 전망
(보론) 그 후의 논쟁의 경과
제3부 초기 헤겔의 사상 형성
제7장 젊은 헤겔에게서 정치와 종교
머리말
제1절 원초적 정치관으로서의 공화주의
1. 프랑스 혁명을 둘러싼 상황적 선택
2. 공화주의 이념을 둘러싼 원리적 고찰
제2절 베른 시기 헤겔의 종교 구상
제3절 프랑크푸르트 시기 헤겔의 종교 구상
1. 횔덜린 합일 철학의 수용
2. 「그리스도교의 정신」에서 합일 철학의 전개
3. 「그리스도교의 운명」을 통한 합일 철학의 상대화와 삶의 사상의 탄생
맺는 말
제8장 예나 시기 헤겔에게서 체계 원리의 성립
머리말
제1절 독일 관념론 맥락에서의 예나 초기의 절대자 개념
1. 초월론 철학에 대한 셸링의 논쟁
2. 주관성 철학에 대한 헤겔의 논쟁
3. 동일 철학에 대한 헤겔의 논쟁
제2절 신학적·초월론적 맥락에서의 예나 후기의 정신 개념
1. 자연법 강의 초고에서의 신학적 전통의 수용
2. 1804년도 체계 구상에서의 정신 개념의 형성
3. 『정신 현상학』에서의 정신 개념의 완성
맺는 말
후기
옮긴이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