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에 들어선 한국 사회가 ‘함께 행복한 공동체’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당연히 법률, 사회의식, 문화, 교육 등의 대책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이 모든 것의 바탕이 되는 철학적 성찰이 필요하다.
목차
머리말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위한 철학적 성찰 1. 한국은 다문화사회인가? 2. 왜 다문화주의 철학이 필요한가? 3. 다문화주의와 유사한 분야의 개념들 4. 다문화적 삶을 위한 이론적 갈래들 -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 5. 다문화주의 이론의 분류 -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6. 다문화주의 착상을 지닌 근대 독일 철학 - 헤겔과 낭만주의 7. 동양은 어떠한가? - 동아시아의 변화 8. 당면한 한국 현실을 정리하며 - 시급히 해결해야 할 소수 집단 문제
상호문화철학과 독일의 상호문화교육 1. 들어가는 말 2. 문제의 배경: 세계화 및 다문화사회 속에서의 타자와의 공존 3. 상호문화성: 세계화와 다문화사회를 바라보는 기본관점 4. 상호문화철학: 상호문화성에 입각한 철학의 재구성 5. 독일의 상호문화교육 6. 결론에 대신하여: 타자와의 공생을 위한 실천모델 - 듀이의 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
헤겔 철학에서 다문화주의 1. 다문화적 삶과 헤겔의 연관성 2. 헤겔 철학의 개인사적 배경 3. 헤겔의 형이상학적-인식론적 지평 4. 헤겔 역사철학에서 동양관 5. 동서양 문화의 등가치성 - 문화 상대성과 절대성의 공존
불교사상에 포함된 다문화주의적 요소 1. 다문화주의의 소개 2. 불교사상의 전개 3. 불교철학과 다문화주의 4. 결론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이제 그런 말은 쓰지 않습니다 :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새로고침이 필요한 말들 2022 / 글·그림: 유달리 / 포레스트북스 :
빅히트 시그널: 글로벌 아이돌을 설계하는 엔터테이먼트 산업의 A to Z2020 / 지음: 윤선미 / 블랙피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