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규장각 새로 읽는 우리 고전 16권. 조선의 대표적 성리학자 율곡 사상의 핵심이 담긴 저술로서 성리학의 입문서이자 제왕학의 교과서이며 조선의 경장을 촉구하는 시국론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간행사
『성학집요』 읽기를 시작하며

1부 『성학집요』 서론
1. 『성학집요』를 바치는 글
2. 『성학집요』의 집필 목표
3. 『성학집요』의 구성과 내용
4. 임금에 대한 율곡의 바람
5. 범례

2부 『성학집요』 총론
1. 유교 윤리학과 정치학

3부 수기: 성찰의 힘
1. 수기 입문: 유교 수양론의 윤곽
2. 수기 본론
1) 백성 다스리기의 근본
2) 수기와 지행합일
3. 입지: 뜻을 세우다
1) 입지는 방향 설정이다
2) 입지의 실패
3) 지도자로서 군주의 책무
4. 수렴: 마음을 모으다
1) 경, 유교 수양론의 중심
2) 정좌는 지식 공부의 기초
5. 궁리: 이치를 탐구하다
1) 궁리(窮理)란 무엇인가?
2) 독서의 중요성
3) 성선설
4) 마음은 하나다
5) 사단은 정(情)의 일부, 이기 호발(互發)의 오류
6) 리통기국, 이기관계
7) 궁리와 활연관통
6. 성실: 진실한 마음을 회복하다
7. 교기질: 기질을 교정하다
8. 양기: 기를 기르다
9. 정심: 마음을 바로잡다
1) 마음 바로잡기
2) 경과 미발에 대하여
3) 미발과 이발에 대해서
4) 미발 시의 함양과 성찰
5) 미발 시의 체인의 중요성
6) 마음 작용의 혼(昏)과 란(亂)
10. 검신: 몸을 점검하다
1) 천형(踐形)의 중요성
2) 수양에서 몸의 중요성
11. 회덕량: 덕을 확장하다
12. 보덕: 군주의 덕을 보완하다
13. 돈독: 성실한 노력을 기울이다
14. 수기공효: 수기의 성과

4부 성현도통: 성리학의 정통론
1. 도통론 개요
2. 도통의 계승과 단절
3. 도의 기원과 전승
4. 현실의 어둠과 군주의 책무

원문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동춘당 송준길 : 주경(主敬)의 철학자 동춘당 송준길 : 주경(主敬)의 철학자 2007 / 송인창 지음 / 청계출판사
한원진 : 18세기 기호유학을 이끈 호학의 일인자 한원진 : 18세기 기호유학을 이끈 호학의 일인자 2009 / 이상곤 지음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이)동호문답 : 해제|선조에게 올리는 청년 이이의 수기치인의 정치개혁 보고서 (이이)동호문답 : 해제|선조에게 올리는 청년 이이의 수기치인의 정치개혁 보고서 2005 / 이이 지음 ; 안외순 옮김 / 책세상
(이이) 답성호원 (이이) 답성호원 2013 / 지은이: 이이 ; 옮긴이: 임헌규 / 책세상
(이이) 답성호원 (이이) 답성호원 2013 / 지은이: 이이 ; 옮긴이: 임헌규 / 책세상
동호문답  : 조선의 군주론, 왕도정치를 말하다 동호문답 : 조선의 군주론, 왕도정치를 말하다 2014 / 이이 저 ; 정재훈 역해 / 아카넷
성학집요  ; 격몽요결 성학집요 ; 격몽요결 2008 / 이이 [지음] ; 고산 역해 / 동서문화사
성학집요  : 군자의 길, 성찰의 힘 성학집요 : 군자의 길, 성찰의 힘 2018 / 원저: 이이 ; 저: 이용주 / 아카넷
성학집요 : 교양으로 읽는 율곡의 성리학 성학집요 : 교양으로 읽는 율곡의 성리학 2006 / 이이 지음 ; 최영갑 풀어씀 / 풀빛
율곡어록 율곡어록 2021 / 지음: 율곡이이 ; 옮김: 한영우 / Olje(올재)
(율곡 이이) 직간  : 왜 지금 우리에겐 목숨 걸고 직언하는 충신이 없는가 (율곡 이이) 직간 : 왜 지금 우리에겐 목숨 걸고 직언하는 충신이 없는가 2016 / 저자: 율곡 이이 ; 역해자: 오세진 / 홍익출판사
율곡과 노자  : 『순언』에 관한 철학적 모색 율곡과 노자 : 『순언』에 관한 철학적 모색 2017 / 지은이: 이종성 /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율곡학과 한국유학 율곡학과 한국유학 2007 / 편: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예문서원
율곡, 사람의 길을 말하다 율곡, 사람의 길을 말하다 2008 / 한정주 지음 / 위즈덤하우스
율곡, 사람의 길을 말하다 율곡, 사람의 길을 말하다 2008 / 한정주 지음 / 위즈덤하우스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 진보와 보수, 문제는 프레임이다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 진보와 보수, 문제는 프레임이다 2015 / 레이코프지은이: 조지 레이코프 ; 옮긴이: 유나영 / 와이즈베리
이야기 동양철학사 이야기 동양철학사 2014 / 강성률 지음 / 살림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2019 / 이황 지음 ; 이광호 옮김 / 홍익
문과생도 이해하는 E=mc² 문과생도 이해하는 E=mc² 2017 / 지음: 고중숙 / 꿈꿀자유
예기 : 모두들 알지만 아무도 안 본 사서오경 예기 : 모두들 알지만 아무도 안 본 사서오경 2009 / 주춘차이 글·그림 ; 김윤진 옮김 / 서해문집
맹자를 읽다 : 언어의 투사 맹자를 공부하는 법 맹자를 읽다 : 언어의 투사 맹자를 공부하는 법 2016 / 지음: 양자오 ; 옮김: 김결 / 유유
高麗後期 士大夫와 性理學의 受容 高麗後期 士大夫와 性理學의 受容 2001 / 고혜령 저 / 일조각
송명성리학 송명성리학 1998 / 陳 來 지음 ; 안재호 옮김 / 예문서원
아인슈타인 : 철학적 견해와 상대성 이론 아인슈타인 : 철학적 견해와 상대성 이론 2001 / D.P. 그리바노프 지음 ; 이영기 옮김 / 일빛
전략적 공부기술 전략적 공부기술 2004 / 베레나 슈타이너 지음 ; 안미란 옮김 / 들녘미디어
성리학의 우주론과 인간학 성리학의 우주론과 인간학 2018 / 지음: 이창일, 김우형, 김백희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부분과 전체 : 원자물리학을 둘러싼 대화들 부분과 전체 : 원자물리학을 둘러싼 대화들 2023 / 지음: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옮김: 유영미 / 서커스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대한민국철학사 대한민국철학사 2020 / 지음: 유대칠 / 이상북스
사랑하지 말자 사랑하지 말자 2013 / 김용옥 지음 / 통나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2013 / 조남호 지음 / 김영사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2018 / 지음: 김형찬 / 바다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2015 / 금장태 지음 / 바오로딸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2012 / 함규진 지음 / 한길사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2013 / 정약용 지음 ; 노만수 엮어옮김 / 앨피
율곡 인문학 : 조선 최고 지성에게 사람다움의 길을 묻다 율곡 인문학 : 조선 최고 지성에게 사람다움의 길을 묻다 2017 / 지음: 한정주 / 다산북스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2019 / 지음: 이황, 옮김: 이광호 / 홍익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2015 / 편: 한국철학회 / 철학과 현실사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2013 / 김현영 외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2017 / 지음: 오구라 기조 ; 옮김: 조성환 / 모시는사람들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2003 / 한상우 지음 / 현암사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2005 / 정약용 지음 ; 장승희 풀어씀 / 풀빛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2010 / 김용헌 지음 / 웅진씽크빅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1
30대1
40대1
50대2
60대2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1
2021년0
2022년3
2023년2
2024년1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