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성학집요』 읽기를 시작하며
1부 『성학집요』 서론
1. 『성학집요』를 바치는 글
2. 『성학집요』의 집필 목표
3. 『성학집요』의 구성과 내용
4. 임금에 대한 율곡의 바람
5. 범례
2부 『성학집요』 총론
1. 유교 윤리학과 정치학
3부 수기: 성찰의 힘
1. 수기 입문: 유교 수양론의 윤곽
2. 수기 본론
1) 백성 다스리기의 근본
2) 수기와 지행합일
3. 입지: 뜻을 세우다
1) 입지는 방향 설정이다
2) 입지의 실패
3) 지도자로서 군주의 책무
4. 수렴: 마음을 모으다
1) 경, 유교 수양론의 중심
2) 정좌는 지식 공부의 기초
5. 궁리: 이치를 탐구하다
1) 궁리(窮理)란 무엇인가?
2) 독서의 중요성
3) 성선설
4) 마음은 하나다
5) 사단은 정(情)의 일부, 이기 호발(互發)의 오류
6) 리통기국, 이기관계
7) 궁리와 활연관통
6. 성실: 진실한 마음을 회복하다
7. 교기질: 기질을 교정하다
8. 양기: 기를 기르다
9. 정심: 마음을 바로잡다
1) 마음 바로잡기
2) 경과 미발에 대하여
3) 미발과 이발에 대해서
4) 미발 시의 함양과 성찰
5) 미발 시의 체인의 중요성
6) 마음 작용의 혼(昏)과 란(亂)
10. 검신: 몸을 점검하다
1) 천형(踐形)의 중요성
2) 수양에서 몸의 중요성
11. 회덕량: 덕을 확장하다
12. 보덕: 군주의 덕을 보완하다
13. 돈독: 성실한 노력을 기울이다
14. 수기공효: 수기의 성과
4부 성현도통: 성리학의 정통론
1. 도통론 개요
2. 도통의 계승과 단절
3. 도의 기원과 전승
4. 현실의 어둠과 군주의 책무
원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