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선(禪)'이란 불교의 세 가지 배움 가운데 하나인 정(定)으로 '생각을 고요에 들게 한다', '생각을 닦는다'는 의미로, 지금까지 불교의 중요한 가치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선시'의 어원은 산스크리트어 'gata'인데 이후 의역되어 '불전 가운데 운문으로 된 시'를 일컫는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을 펴내며
禪, 발가숭이 어록 자서自序

프롤로그_ 뭘, 보고 계시는지요

제 1 화 ㆍ 염화시중 미미소 拈花示衆 微微笑
제 2 화 ㆍ달마의 ‘크고 넓어 범·성이 없다’ 達磨廓然無聖
제 3 화 ㆍ선문의 사구게 禪門 四句偈
제 4 화 ㆍ약산의 푸른 하늘엔 구름 병속엔 물 雲在靑天水在甁
제 5 화 ㆍ부처를 태운 단하 丹霞燒佛
제 6 화 ㆍ조주고불 趙州古佛
제 7 화 ㆍ영운의 복사꽃 한 번 보고 난 뒤에 一見桃花後
제 8 화 ㆍ남전, 고양이 목을 베다 南泉斬猫
제 9 화 ㆍ조주의 구순피선 趙州口脣皮禪
제10화 ㆍ마조, 벽돌 갈아 거울을 만들다 磨甎成鏡
제11화 ㆍ소를 타고 소를 찾네 騎牛覓牛
제12화 ㆍ방 거사의 물 긷고 땔감 나르는 일 運水及搬柴
제13화 ㆍ임제의 이르는 곳마다 주인이 되라 臨濟隨處作主
제14화 ㆍ혜능의 본래무일물 慧能本來無一物
제15화 ㆍ천황의 뿌리도 포기도 없는 사람은 밥이 생명이다 人無根株 以食爲命
제16화 ㆍ서산, 머리 희어도 마음은 희지 않는 것 西山髮白心非白
제17화 ㆍ임제의 지위 없는 참사람 無爲眞人
제18화 ㆍ청풍이 태고로부터 불어오네 淸風吹太古
제19화 ㆍ운문의 개먹이나 줄걸 雲門狗子喫却
제20화 ㆍ경허의 고삐 뚫을 구멍 없다는 소리 듣고 鏡虛聞人語無鼻孔
제21화 ㆍ남악의 한 물건이라 해도 맞지 않다 說似一物卽不中
제22화 ㆍ무착의 전삼삼 후삼삼/낙수록 前三三與後三三
제23화 ㆍ소 찾는 노래 尋牛頌
제24화 ㆍ한국의 ‘소 찾는 노래 1’ 韓國尋牛頌 一
제25화 ㆍ한국의 ‘소 찾는 노래 2’ 韓國尋牛頌 二
제26화 ㆍ현각의 체달한 즉 남이 없고 玄覺體卽無生
제27화 ㆍ운문과 법안종의 종조들-용담·덕산·설봉 雲門與法眼宗宗祖
제28화 ㆍ임제의 사료간과 삼현 삼요 삼구 四料簡與三玄三要三句
제29화 ㆍ나옹의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네 懶翁靑山兮要我以無語
제30화 ㆍ선시의 백미-「십현담」 禪詩白眉十玄談
제31화 ㆍ백운의 만나는 곳마다 고향일레 白雲頭頭是故鄕
제32화 ㆍ백장, 삼일 동안 귀먹다 百丈三日耳聾
제33화 ㆍ석두의 참동계 石頭參同契
제34화 ㆍ황벽의 한 마음 黃檗之一心
제35화 ㆍ학명의 뿌리 없는 나무에 양 대가리 달아놓고 鶴鳴 無根樹頭懸羊頭
제36화 ㆍ모르는 것이 제일 친한 것이지 不知最親切
제37화 ㆍ혜심의 선문염송 慧諶禪門拈頌
제38화 ㆍ혜심의 그대 알고 말해도 대답 없네 慧諶知君語不應
제39화 ㆍ위앙종의 종조, 위산과 앙산 潙仰宗宗祖山仰山
제40화 ㆍ임제종의 선장들 臨濟宗 禪丈
제41화 ㆍ백장의 여우이야기 百丈野狐話
제42화 ㆍ법안, 이것은 원래 우리 집 서녘에 있다네 法眼 元是住居西
제43화 ㆍ삼밭에 한가히 누운 용성 閑臥麻田上 龍城
제44화 ㆍ운문의 삼구 雲門三句
제45화 ㆍ위산의 이류중행 潙山異類中行
제46화 ㆍ경봉의 야반삼경에 대문빗장을 만져 보거라
제47화 ㆍ고암, 주장자를 세 번 칠 뿐입니다 古庵拄杖三下
제48화 ㆍ낙수록, 벽암록 이야기 碧巖錄說話
제49화 ㆍ의상의 대화엄일승법계도 大華嚴一乘法界圖
제50화 ㆍ법안종의 조사와 선장들 法眼宗 祖師與禪丈
제51화 ㆍ의상의 반시 법성게 盤詩法性偈
제52화 ㆍ성철의 산은 산 물은 물 山是山 水是水
제53화 ㆍ성철의 「백일법문」과 선화로 읽는 행장 百日法門與 禪話行狀
제54화 ㆍ서옹, 참사람 무간지옥에 들다

에필로그
|부록| 선종의 선맥보와 선맥도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다성의 시학 : 류신 평론집 다성의 시학 : 류신 평론집 2004 / 류신 지음 / 창작과비평사
근대의 서사시 근대의 서사시 2002 / 프랑코 모레티 저 ; 조형준 옮김 / 새물결
시에서 연애를 꺼내다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시 시에서 연애를 꺼내다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시 2012 / 민용태 지음 / 고즈윈
시에서 연애를 꺼내다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시 시에서 연애를 꺼내다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시 2012 / 민용태 지음 / 고즈윈
한국 현대시의 정체성 탐구 한국 현대시의 정체성 탐구 2000 / 박경수 저 / 국학자료원
영향에 대한 불안 영향에 대한 불안 2012 / 지은이: 해럴드 블룸 ; 옮긴이: 양석원 / 문학과지성사
선시감상사전 선시감상사전 1998 / 석지현 엮음 / 민족사
禪, 발가숭이 어록  : 송준영의 선시 펼쳐 읽기 禪, 발가숭이 어록 : 송준영의 선시 펼쳐 읽기 2018 / 지음: 송준영 / 소명출판
한국현대시와 동양의 자연관 한국현대시와 동양의 자연관 1998 / 신현락 지음 / 한국문화사
김소월 시어법 연구 김소월 시어법 연구 1995 / 오하근 저 / 집문당
함께 새날을 꿈꾸다  : 시로 연대하다 함께 새날을 꿈꾸다 : 시로 연대하다 2019 / 지음: 우문영 / 좋은땅
함께 새날을 꿈꾸다  : 시로 연대하다 함께 새날을 꿈꾸다 : 시로 연대하다 2019 / 지음: 우문영 / 좋은땅
김소월 시의 어휘와 그 활용구조 김소월 시의 어휘와 그 활용구조 1995 / 윤주은 저 / 學文社
시와 마음 읽기 시와 마음 읽기 2017 / 지음:윤지영 / 신아사
시를 어떻게 읽을까 시를 어떻게 읽을까 2010 / 테리 이글턴 지음 ; 박령 옮김 / 경성대학교출판부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내가 사랑한 첫 문장 : 오랫동안 잊히지 않는 세계문학의 명장면 내가 사랑한 첫 문장 : 오랫동안 잊히지 않는 세계문학의 명장면 2015 / 윤성근 지음 / my
우리가 사랑한 소설들  : '빨간책방'에서 함께 읽고 나눈 이야기 우리가 사랑한 소설들 : '빨간책방'에서 함께 읽고 나눈 이야기 2014 / 지은이: 이동진 ; 김중혁 / 예담
나는 오늘도 하드보일드를 읽는다 나는 오늘도 하드보일드를 읽는다 2015 / 김봉석 지음 / 예담(위즈덤하우스)
나와 청소년문학 20년 : 청소년문학의 개척자 박상률의 문학과 인생 이야기 나와 청소년문학 20년 : 청소년문학의 개척자 박상률의 문학과 인생 이야기 2016 / 지음: 박상률 / 학교도서관저널
다시 동화를 읽는다면 : 우리 시대 탐서가들의 세계 명작 다시 읽기 다시 동화를 읽는다면 : 우리 시대 탐서가들의 세계 명작 다시 읽기 2014 / 지음: 고민정, 김응교, 김진애, 안미란, 황경신, 류동민, 이정모, 홍한별, 우석훈, 오영욱, 안소영, 김혜리, 정혜윤, 고민정, 권오준, 김용언, 장석준, 이용훈 / 반비
거짓말하는 어른 : 김지은 평론집 거짓말하는 어른 : 김지은 평론집 2016 / 김지은 지음 / 문학동네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 2018 / 지음: 정영목 / 문학동네
어린이, 세 번째 사람  : 김지은 평론집 어린이, 세 번째 사람 : 김지은 평론집 2017 / 지음: 김지은 / 창비
松江 詩의 言語 : 컴퓨터 처리에 의한 詩歌 用例 索引 硏究 松江 詩의 言語 : 컴퓨터 처리에 의한 詩歌 用例 索引 硏究 1993 / 金興圭 著 / 고려대학교 출판부
다시 소설이론을 읽는다 : 세계의 소설론과 미학의 쟁점들 다시 소설이론을 읽는다 : 세계의 소설론과 미학의 쟁점들 2015 / 김경식 ; 윤정임 ; 변현태 ; 김수환 ; 김성호 ; 황정아 ; 김영희 ; 유희석 지음 ; 황정아 엮음 / 창비
그렇게 한 편의 소설이 되었다 : 위대한 문학작품에 영감을 준 숨은 뒷이야기 그렇게 한 편의 소설이 되었다 : 위대한 문학작품에 영감을 준 숨은 뒷이야기 2012 / 지음: 실리어 블루 존슨 ; 옮김: 신선해 / 지식채널
한국 작가가 읽은 세계문학 : 나의 읽기, 당신의 읽기 한국 작가가 읽은 세계문학 : 나의 읽기, 당신의 읽기 2013 / 황석영 외 지음 / 문학동네
이것이 나의 도끼다 : 소설가들이 소설가를 인터뷰하다! 이것이 나의 도끼다 : 소설가들이 소설가를 인터뷰하다! 2017 / 지음: Axt 편집부 / 은행나무
무엇보다 소설을 : 더 깊게, 더 짙게, 혼자만을 위한 지독한 독서 무엇보다 소설을 : 더 깊게, 더 짙게, 혼자만을 위한 지독한 독서 2017 / 함정임 글·사진 / 예담
SF거장과 걸작의 연대기 SF거장과 걸작의 연대기 2019 / 김보영, 박상준, 심완선 지음 / 돌베개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