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여성해방과 어린이존중사상이 동학에서부터 비롯되었으며, 그 뿌리는 조선사회 내내 성장하고 성숙하고 성취되어 온 아래로부터의 근대화 동력과 계몽군주로부터(위로부터)의 근대화동력이 발화된 결과라는 점, 우리 사회가 한때의 시행착오에도 불구하고 전근대의 어둠을 뚫고 자생적인 근대화의 길을 밝혀 왔음을 밝히고 있다.
목차
들머리
1장 서론 : 조선의 근대를 만든 '무명'의 사람들을 찾아서 1. 근대의 여정: '민국(民國)'의 사람들 2. 근대의 경계(境界): 여성해방과 어린이 존중
2장 조선의 근대를 들여다보는 방법 1. 서구가 만들어 낸 근대와 조선의 민본(民本) 2. 있는 그대로의 삶의 역사: 공감해석학적 접근과 일상사적 접근
3장 ‘유동하는’ 조선 사회 : 신분제의 와해와 평등사회에 대한 갈망 1. 전쟁의 여파와 사회 변화: 국가 불신과 새 세상에 대한 갈망 2. 민국 이념의 확산: ‘왕과 사대부의 나라’에서 ‘백성의 나라’로 3. 민(民)의 저항과 새로운 주체의 성장 : 민압의 시대에서 민란의 시대로
4장 조선시대의 여성: ‘어둠’에서 ‘빛’으로 1. 동아시아의 여성관과 모정주의 2. 성리학적 질서와 조선시대 여성 : ‘성리학의 구렁’에 빠진 여성들 3. 성리학적 질서에 맞선 조선의 여성들 4. 조선 후기 여성해방의 흐름과 동학사상 5. 서양의 여성관과 여성의 지위 6. 근대화 과정에서의 동서양의 여성문제 비교 연구
5장 조선시대의 어린이 : 인내천의 천사 1. 조선사회의 어린이 2. 조선사회의 어린이교육 3. 고종의 교육개혁 4. 방정환의 교육사상과 어린이: 인내천의 천사 5. 서양의 아동문제 6. 조선사회의 어린이와 근대: 동학과 소파 방정환
6장 마치며: 근대의 경계를 넘은 사람들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한국사 영화관. [1], 전근대 편 : 18편의 영화로 읽는 삼국, 고려, 조선 시대사 2019 / 지음: 김정미 / 메멘토
한국사 영화관. [2], 근현대 편 : 18편의 영화로 읽는 20세기 한국사 2019 / 지음: 김정미 / 메멘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