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왜 다시 금강경인가?
금강경의 특징
금강경의 한역본과 제목
法會因由分 第一 법회가 이루어지는 인연
善現起請分 第二 수보리 존자가 가르침을 청함
大乘正宗分 第三 대승 불교의 가장 중요한 가르침
妙行無住分 第四 뛰어난 수행에는 집착이 없다
如理實見分 第五 가르침대로 참답게 보라
正信希有分 第六 바른 믿음은 고귀하다
無得無說分 第七 얻을 수도 설명할 수도 없다
依法出生分 第八 가르침을 따르면 깨닫는다
一相無相分 第九 깨달음에는 자취가 없다
莊嚴淨土分 第十 불국토 건설(장엄)은 건설이 아니다
無爲福勝分 第十一 깨닫는 것이 으뜸가는 복이다
尊重正敎分 第十二 바른 가르침은 존중된다
如法受持分 第十三 부처님처럼 깨닫고 전법하라
離相寂滅分 第十四 관념을 초월하면 평화롭다
持經功德分 第十五 부처님 가르침대로 실천하는 공덕
能淨業障分 第十六 업으로 인한 장애를 맑히는 공덕
究竟無我分 第十七 모든 법에는 끝끝내 실체가 없다
一體同觀分 第十八 하나의 몸 같은 지혜
法界通化分 第十九 법계를 모두 교화하는 법
離色離相分 第二十 육신과 상호만으로 여래를 볼 수 없다
非說所說分 第二十一 설한 것은 설함이 아니다
無法可得分 第二十二 얻을 수 있는 진리가 없다
淨心行善分 第二十三 맑은 마음으로 좋은 법을 실천하라
福智無比分 第二十四 복과 지혜는 견줄 수 없는 것
化無所化分 第二十五 교화하되 교화된 중생이 없다
法身非相分 第二十六 여래의 참모습은 상호가 아니다
無斷無滅分 第二十七 끊어짐도 없고 멸함도 없다
不受不貪分 第二十八 받지도 않고 탐착하지도 않는다
威儀寂靜分 第二十九 부처님 모습은 고요하고 평화롭다
一合理相分 第三十 실체는 관념들의 집합이 아니다
知見不生分 第三十一 지견을 내지 않아야 한다
應化非眞分 第三十二 조건 따라 보인 것은 참된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