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5
01 서장: 사회통합형 대북정책을 위하여
1. 햇볕정책의 진정한 교훈 15
2. 햇볕과 반(反)햇볕의 차이는 과장됐다 31
02 대북정책의 진화: 수렴의 뿌리
1. 냉전기의 대북정책 44
2. 탈냉전기의 대북정책 69
03 김대중의 대북 화해․협력 정책: 햇볕정책
1. 왜 김대중인가 93
2. 김대중의 대북 인식과 정책의 형성기 99
3. 김대중의 3단계 통일론 117
4. 공화국연합제와 햇볕정책, 그 모순에 대해 130
04 햇볕정책의 실효성: 수렴의 시작
1. 기존 연구와 실효성 분석 139
2. 분석의 틀: 3C(Confidence, Consensus, Compatibility) 모델 147
05 3C로 본 햇볕정책의 실효성 변화
1. 3C의 점증과 실효성 가시화 171
2. 높은 수준의 3C와 실효성 극대화 200
3. 3C의 균열과 실효성 급감 232
06 햇볕과 반(反)햇볕의 수렴 (1): 이론의 관점
1. 국제정치학의 정치적 현실주의 275
2. 대북정책의 토대로서의 한국적 현실주의 282
3. 한국적 현실주의의 구성요소 290
07 햇볕과 반햇볕의 수렴 (2): 정책과 이행의 관점
1. 햇볕론자들의 아집과 위선 333
2. 반햇볕론자들의 원죄와 한계 351
3. 수렴의 길 372
08 맺는 말: 수렴의 제도화를 위한 제언
1. 햇볕정책이 제대로 평가받으려면 398
2. 북방정책과 북핵동결을 딛고 선 햇볕정책 403
3. 대북정책은 단절이 아닌 계승이다 408
4. 대북정책에 불필요한 이름 붙이지 마라 413
5. 3C의 창(窓)으로 대북정책을 보자 418
6. 통일부 대신 ‘남북 관계위원회’를 설치하자 429
∙참고문헌 437
∙찾아보기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