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정신과 증거기반의학의 정신은 서로 통한다. 철학은 통념을 의심하고, 체계적으로 반성하는 학문이다. 증거기반의학은 가설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용 가능한 증거를 모두 감안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목차
감사의 말 추천의 말 머리말
Ⅰ부 • 들어가며 1장 • 증거기반의학의 철학 2장 • 증거기반의학이란 무엇인가? 3장 • 임상적 의사결정에서 좋은 증거란 무엇인가?
Ⅱ부 • 무작위 배정, 양측 가면법, 플라세보 대조 - 다른 대안보다 교란요인을 더 잘 배제하는 시험 설계인가? 4장 • 경쟁 가설과 교란요인 제거하기 5장 • 효과성의 역설 해결하기 - 관찰 연구가 무작위 시험만큼 증거능력이 있는 경우는 언제인가? 6장 • 양측 가면법은 과연 임상시험의 보편적 덕목인가? - 필립의 역설 해결하기 7장 • 플라세보 대조 - 효과성에 대한, 문제투성이이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출발선 측정 방법 8장 • '플라세보' 대조시험이 '활성' 대조시험보다 과연 방법론적으로 우월한가?
Ⅲ • 메커니즘 추론 및 전문가 판단의 역할과 증거기반의학의 위상 - 전통적 역할은 증거기반의학에 의해 뒤집혔는가 9장 • Ⅲ부를 열며 10장 • 메커니즘 추론에 대한 증거기반의학의 입장과 그에 대한 조건부 옹호 11장 • 명제적 지식 대 노하우 - 전문가 임상 판단에 대한 증거기반의학의 입장을 정하기
Ⅳ부 • 결론 12장 • 증거기반의학의 전진을 위해
옮긴이의 말 • 증거기반의학의 정신, 철학의 정신 - 당연해 보이는 것에 대한 의심
용어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한눈에 쏙쏙) 의학통계 배우기 = Medical statistics2012 / 김지형, 김용은 지음 / 대한의학서적
(한눈에 쏙쏙) 의학통계 배우기 = Medical statistics2012 / 김지형, 김용은 지음 / 대한의학서적
(의학논문 작성을 위한) R통계와 그래프 = R statistics and graphs for medical papers2015 / 지음: 문건웅 / 한나래아카데미
의학 통계의 이해 = Understanding medical statistics2013 / 유근영 지음 / 한나래출판사
의학 통계의 이해 = Understanding medical statistics2013 / 유근영 지음 / 한나래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