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석재의)생태건축 : 일곱 번의 위기와 일곱 개의 자연
발행연도 - 2011 / 지음: 임석재 / 인물과사상사
-
도서관
청라호수도서관
-
자료실
[청라호수]일반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L0000051298
-
ISBN
9788959061969
-
형태
440p. 23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건축술
>
-
카테고리분류
경제/경영
>
경영
>
경영전략/혁신
책소개
건축사학자의 눈으로 읽어낸 서구문명사에서 지금 우리가 맞닥뜨린 생태 위기를 해결할 해법을 찾으려는 진지한 고민을 담은 책이다. 건축 분야에서 왕성한 집필 활동을 해온 건축사학자 임석재 교수는 “환경 위기의 본질 및 그에 대한 해법을 서양문명이 자연을 대하고 운용해온 ‘자연사상의 역사’”에서 찾는다.
목차
서문
프롤로그 - 자연, 생태사상, 건축
1장 그리스 생태사상, 땅에서 자연을 찾다
1. 첫 번째 자연 - 통합적 자연관과 가이아
2. 첫 번째 자연의 건물, 그리스 신전
3. 첫 번째 위기 - 플라톤의 이분법
2장. 중세 가톨릭과 빛으로서의 자연
1. 두 번째 위기 - 자연을 개발 대상으로 삼은 로마 문명
2. 지속되는 두 번째 위기 - 기독교의 자연관
3. 두 번째 자연 - 빛으로서의 자연
3장. 18세기 낭만주의와 감성으로서 자연
1. 세 번째 위기 - 종교개혁과 과학혁명
2. 자연과학의 발전
3. 세 번째 자연 - 감성으로서 자연
4. 낭만주의 자연관을 담아낸 폐허운동
4장. 자연철학과 성스러운 작동 원리로서 자연
1. 네 번째 위기 - 17세기 기계론과 뉴턴
2. 네 번째 자연 - 작동원리로서의 자연
3. 새로운 기독교의 등장
5장. 19세기 기독교 사회주의와 이데올로기로서 자연
1. 다섯 번째 위기 - 산업혁명
2. 다윈과 진화론
3. 다섯 번째 자연 - 이데올로기로서의 자연
인터루드 - 생태학의 탄생
6장. 19세기 농촌 미학과 농촌으로서 자연
1. 여섯 번째 위기 - 근대적 대도시의 출현
2. 여섯 번째 자연 - 농촌으로서의 자연
3. 농촌예술운동
7장. 일곱 번째 자연 - 20세기 환경운동과 유기체로서 자연
1. 일곱 번째 위기 - 환경 위기
2. 위기의 진단과 경고
3. 일곱 번째 자연 - 유기체로서의 자연
4. 심층 생태학
5. 현대 생태건축
에필로그 - 방황하는 인류의 정착 문제
생태사상의 역사적 흐름
그림 목록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1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1 |
2020년 | 0 |
2021년 | 1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