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을 둘러싼 260여 년간의 경제학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시대 상황에 따라 불평등을 바라보는 관점과 대안은 어떻게 변화해왔고, 경제학과 경제학자의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한다.
목차
들어가기에 앞서 피케티에서, 다시 루소와 스미스로
1장 ‘자본주의’의 발견 : 애덤 스미스와 고전파 경제학 2장 ‘노동력’이라는 상품 : 기술혁신에 관한 최초의 이론가, 카를 마르크스 3장 누구나 자본가가 될 수 있다 : 앨프리드 마셜과 신고전파 경제학 4장 ‘경제성장’을 어떻게 논할 것인가? : 20세기의 신고전파 경제학 5장 노동자 사이에 계층이 형성되다 : 정규직·안정고용 대 비정규직·불안정고용 6장 성장과 분배 문제를 다시 생각하다 : 불평등 르네상스 ① 7장 성장과 분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불평등 르네상스 ② 8장 자본시장의 완성인가? 재분배인가? : 불평등 르네상스 ③ 9장 피케티에서 한 걸음 떨어져 : 21세기에 재점화된 불평등 논쟁
나오면서 경제학자들과 불평등의 싸움은 계속된다 지은이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독식 비판 : 지식 경제 시대의 부와 분배2011 / 가 알페로비츠 ; 루 데일리 [공]지음 ; 원용찬 옮김 / 민음사
독식 비판 : 지식 경제 시대의 부와 분배2011 / 가 알페로비츠 ; 루 데일리 [공]지음 ; 원용찬 옮김 / 민음사
불평등을 넘어 : 정의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2015 / 지음: 앤서니 앳킨슨 ; 옮김: 장경덕 / 글항아리
이 모든 것은 자산에서 시작되었다 2021 / 지음: 리사 앳킨스, 멀린다 쿠퍼, 마르티즌 코닝스 ; 옮김: 김현정 / 사이
이 모든 것은 자산에서 시작되었다 2021 / 지음: 리사 앳킨스, 멀린다 쿠퍼, 마르티즌 코닝스 ; 옮김: 김현정 /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