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미술을 새로운 눈으로 읽는 아시아미술 소개서다. 주제와 나라, 시대에 따라 가장 핵심적인 미술작품을 소개하고 있는 이 책은 주제별로 각 장을 구성하고 각 장마다 아시아 여러 지역의 중요 미술을 설명하는 것이 기존의 책과 가장 큰 차별점이다.
목차
아시아미술 바로보기 아시아의 역사 연표 클릭, 아시아미술 한 눈에 보기
제1장 고대미술의 재발견(기원전12000-6세기 중엽) 아시아미술의 기원-연표 1 선사문화의 등장 중국의 선사문화 일본의 선사문화 인도의 선사문화 2 도시와 무덤 그리고 문명 인더스문명 하와 상 주의 문화 춘추전국시대 일본 고훈시대
제2장 아시아 종교의 형성 : 불교와 유교미술(기원전321-6세기) 종교미술의 시작-연표 1 인도의 불교미술 새로운 종교의 탄생 마우리아 제국과 불교의 성장 스투파와 무불상시대 쿠샨 왕조 굽타 왕조: 인도 불교미술의 전성기 2 중국에서의 불교 전파와 불교미술 불교의 동점과 초기 불교미술 중앙아시아의 석굴사원 조영 남북조시대 3 중국의 유교문화 : 사회 통치이념과 미술 한 위진남북조시대
제3장 종교와 권력의 표현(5-13세기) 안정된 국가의 종교양식과 문화예술-연표 1 국가와 개인의 종교 북위: 국가불교와 대규모 불사 수: 중국 통일과 인수사리탑 당: 대제국과 국제양식의 완성 2 일본에서의 불교 전파와 미술 아스카시대 나라시대: 중앙집권제도와 대사찰의 번영 3 인도의 힌두교 미술 초기의 힌두사원: 석조사원의 발생 남북양식의 성립 힌두 석굴사원의 발달 왕실 사원과 지역별 건축양식 정립 4 동남아시아의 거대사원 동남아시아와 인도: 해상의 실크로드 인도네시아: 지상의 만다라 보로부두르 캄보디아 크메르: 신들의 도시 앙코르
제4장 회화와 서예의 발전(7-13세기) 동아시아 회화와 서예의 발달과정-연표 1 당대의 회화 인물화의 융성 산수화의 등장 2 오대, 송대의 회화 오대: 귀족사회에서 관료사회로 송대: 문인 세력과 복고적 취향 3 중국의 서예 다섯 가지 서체: 전서, 예서, 초서, 해서, 행서 당대의 서예: 왕희지체의 유행 송대의 서예: 개성의 강조 4 헤이안시대 회화 일본의 독자적 양식과 세련된 장식화 민중적, 해학적 두루마리 그림 밀교의 도입과 만다라
제5장 정복자의 미술 : 이슬람과 몽골의 후손들(12-16세기) 인도의 이슬람 문화와 몽골 지배하의 미술-연표 1 이슬람의 전파와 새로운 건축 유일신 사상의 전래: 초기 이슬람과 남아시아 술탄 왕조의 건축과 티무르의 침입 이슬람 진출 이후 남아시아 각지의 다양한 미술 전통 남아시아 필사본 전통의 변화 2 원: 몽골의 발흥과 복고적 문인화 몽골 침입과 원 제국 색다른 불교: 라마 미술의 발전 충절을 지킨 화가들 문인화의 부흥: 조맹부 원사대가 제6장 회화의 시대 : 지성과 기량(12-16세기) 중국 문인문화와 일본 무사정권의 예술-연표 1 명: 절파와 오파의 성립 복고적 궁정회화와 산수화 화조화 절파 오파 절충파 화가들 동기창의 등장 명대 말기의 변화 2 막부의 시대: 무사와 귀족 문화의 혼융 가마쿠라시대 무로마치시대
제7장 국가이념과 권력(16-19세기) 국가가 추구하는 가치와 예술-연표 1 티무르의 후손들 무굴 제국의 성립과 발전 무굴 전성기의 회화와 건축 2 청 제국의 미술 제국의 중심: 북경 황제의 공간: 자금성 궁중의 정통화파 유민화가: 금릉팔가와 공현 사승화가 궁정회화의 발달 3 막부의 권위와 미술 모모야마시대: 쇼군의 권세 장벽화의 대가들 나가사키 개항과 난반화 에도시대: 서민문화와 다양한 미술의 번영
제8장 기술과 자본의 꽃, 도자기(7-19세기) 불과 물 그리고 흙의 연금술-연표 1 중국의 도자기 토기에서 도자기로 송의 도자기: 실용적 기능과 우아한 형태 원의 도자기: 혁신과 기술적 실험 명의 도자기: 다양한 색의 도입 청의 도자기: 회화적 색채와 문양 2 일본의 도자기 중세의 도기 다도의 융성과 근세의 도자기 일본백자의 생산과 유럽 수출
제9장 미술과 대중 : 전통과 근대의 교차(16-19세기) 상업미술과 새로운 매체의 발달-연표 1 중국 판화와 미술시장 목판화의 기원: 고대부터 송대까지 목판화의 발달: 명대 통속문학의 유행 화보: 서민층의 그림 감상 청대 판화 양주화파와 미술시장 상해화파: 근대로의 길 2 에도시대의 우키요에 우키요에의 출현 가부키와 우키요에 우키요에의 황금시대 풍경의 재현 서양의 일본취향과 우키요에 3 인도의 근대화와 식민지미술 서구 열강의 진출과 유럽 건축 회사양식 회화와 사진술의 전파 바르마와 타고르: 서구와 인도 식민통치하의 건축
제10장 세계화시대의 아시아미술(19-20세기) 세계로 열리는 아시아의 눈과 미술-연표 1 중국의 현대미술 20세기의 격변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격변의 시대와 새로운 미술 2 일본, 미술의 ‘발견’과 제도화 메이지시대 다이쇼 이후의 일본 3 남아시아 현대미술 민족 정체성과 모더니즘 모더니즘 건축: 새로운 국가 정체성 다양한 실험: 현대회화와 조각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걸작의 뒷모습 : 옥션에서 비엔날레까지 7개 현장에서 만난 현대미술의 은밀한 삶2011 / 세라 손튼 지음 ; 이대형 ; 배수희 옮김 / 세미콜론
혐오와 매혹 사이 : 왜 현대미술은 불편함에 끌리는가2018 / 지음: 이문정 / 동녘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동양미술 이야기. 1, 인도, 문명의 나무가 뻗어나가다 2022 / 지음: 강희정 / 사회평론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동양미술 이야기. 1, 인도, 문명의 나무가 뻗어나가다 2022 / 지음: 강희정 / 사회평론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동양미술 이야기. 2, 중국, 사람이 하늘을 열어젖히다 2022 / 지음: 강희정 / 사회평론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동양미술 이야기. 2, 중국, 사람이 하늘을 열어젖히다 2022 / 지음: 강희정 / 사회평론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동양미술 이야기. 3, 구원과 욕망의 교차로, 실크로드를 가다 2023 / 지음: 강희정 / 사회평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