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01 강남妙音公主와 해동 바리공주 설화, 두 설화의 同一系列 탐색 시론 / 조영록
02 <華城陵行圖屛>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실제와 그 활용 방안 / 이하나
03 『열국지전』 한국에서의 전파 및 재창작 / 진영
04 도교신 二廊新의 서사 속 캐릭터 재현 양상 『西遊記』,『封神演義』,『王子榮耀』를 중심으로 / 유수민
05 万葉歌에서보는 「모노가타리 文学(物語爲) 」의 始原, 히토마로 노래「物語リ為む(7·1287)에서본 소설탄생의 의미 분석 / 고용환
06 동아시아 소상팔경(瀟湘八景)의 스토리텔링 가능성 / 전경원
07 스토리텔링으로서의 고구려 여성의 삶 고구려 王后于氏 이야기 / 정원주
08 스토리텔링 소재로서 백제 束城王 / 이도학
제2부
09 13세기 歷史像의 스토리 개발 창작소재로서 삼국유사 [내물왕 김제상] 조의 분석 / 고운기
10 조정산 관련 映畵 스토리텔링과 갈등극복 모티프 탐색 / 고남식
11 은산별신제 관련 문화원형 스토리텔링, 스토리두잉, 스토리크래프팅 試論 / 최종호
12 韓ㆍ中ㆍ日의 古代 童謠 坦究 / 오카야마 젠이치로
13 한국문화의 가치 공유ㆍ확산방법으로서 문화재 활용과 스토리텔링 충남 서산 普願寺址와 法印國師坦文을 사례로 / 류호철
14 혼례 행례자의 이용시각과 시간 질서 『儀禮』「土昏禮」의 六禮篩次를 중심으로 / 지현주
15 목포시 Storydoing Design / 박미례
제3부
16 일본 고마가쿠와 한국 음악 / 김정예
17 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 전시 속의 고대 한반도 이주민 / 세키네 히데유키
18 佛敎以前 의 思想과 蓮華의 相關性 考察 / 편무영
19 선진시기 역사서의 재인식 문제 / 구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