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원 아르케북스 92권. 부족의 개념들 중 사회적인 양상과 관련하여 자주 쓰이지 않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부족의 각 단위와 혈연집단, 동일언어, 사용집단 등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저자서문 역자서문
제1장 부족은 존재하는가? Do Tribes Exist? 제2장 교배집단으로서의 부족 Tribes as Breeding Populations 제3장 언어집단으로서의 부족 Tribes as Linguistic Groupings 제4장 이름이 부여된 집단으로서의 부족 Tribes as Named Groups 제5장 경제체제로서의 부족 Tribes as Economic Systems 제6장 소부족의 개념 The Notion of ‘Tribelet’ 제7장 정치적 집단으로서의 부족 The Tribe as a Political Group 제8장 전쟁과 평화의 단위로서의 부족 The Tribe as a War/Peace Unit 제9장 이념집단으로서의 부족 Tribes as Ideological Groups 제10장 문화적 단위로서의 부족 Tribes as Cultural Units 제11장 부족의 정치적 진화 The Tribe in Political Evolution 제12장 이차적 현상으로서의 부족 The Tribe as a Secondary Phenomenon 제13장 부족과 국가 Tribe and Nation 제14장 부족의 개념 The Notion of Tribe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원시문화. 2 : 신학, 철학, 종교, 언어, 기술, 그리고 관습의 발달에 관한 연구2018 / 지음: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 ; 옮김: 유기쁨 / 아카넷
인간 사회와 상징 행위 : 사회적 드라마, 구조, 커뮤니타스2018 / 지음: 빅터 터너 ; 옮김: 강대훈 / 황소걸음
인간 사회와 상징 행위 : 사회적 드라마, 구조, 커뮤니타스2018 / 지음: 빅터 터너 ; 옮김: 강대훈 / 황소걸음
뇌의 진화, 신의 출현 : 초기 인류와 종교의 기원 2019 / 지음: E. 풀러 토리 ; 옮김: 유나영 / 갈마바람
뇌의 진화, 신의 출현 : 초기 인류와 종교의 기원 2019 / 지음: E. 풀러 토리 ; 옮김: 유나영 / 갈마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