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바닥으로 쓰고 찍은 4대강의 기록. 정부의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논리적이고 과학적 답변을 내놓았던 소중한 성과물인 <나는 반대한다>, <강은 살아 있다> 등의 책과는 달리 강의 목소리, 강을 지키는 사람들의 목소리, 강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기록했고, 사진의 기록을 통해 파괴되고 있는 강과 인간의 삶을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목차
추천의 글 죽어가는 강으로 귀한 책을 얻었건만, 여전히 슬프구나 생명의 강을 회복하는 희망의 불씨가 되기를
발원지에서
1부 한강 고요한 한江 두물머리 끝엔 나무십자가가 있다 모든 것이 사라졌다고 느낄 때까지 남는 것
2부 낙동강 이야기 하나 인간이 강과 함께 살아가는 법 농부 논객 김진창 사라진 미래
3부 금강 El Condor Pasa 잃어버린 시간
4부 영산강 강의 죽음
5부 낙동강 이야기 둘 낙동강에서 부치는 안부
강의 하구에서
서가브라우징
나이 듦을 배우다 : 젠더, 문화, 노화2016 / 지음: 마거릿 크룩섕크 ; 옮김: 이경미 / 동녘
(이주하는 인간,)호모 미그란스 = Homo migrance : 인류의 이주 역사와 국제 이주의 흐름2016 / 조일준 지음 ; , / 푸른역사
재일한인 디아스포라 :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과 재일본한국인연합회의 단체 활동과 글로벌 네트워크2015 / 지충남 저 / 마인드탭
내 이름은 욤비2014 / 지음: 욤비 토나 ; 박진숙 [공] / 이후
공동자원의 섬 제주 = Jeju, the island of the commons. 1, 땅, 물, 바람2016 / 지음: 최현 외 / 진인진
공동자원의 섬 제주 = Jeju, the island of the commons. 2, 지역 공공성의 새로운 지평2016 / 지음: 최현 외 / 진인진
잃어버린 야생을 찾아서 : 어제의 세계와 내일의 세계2016 / 제임스 매키넌 지음 ; 윤미연 옮김 / 한길사
흐르는 강물처럼 : 4대강 르포르타주 : 우리 곁을 떠난 강,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2011 / 글: 송기역 ; 사진: 이상엽 / 레디앙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