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 한음은 나라가 있는 줄만 알았지 자신의 몸이 있는 줄은 몰랐다
한음 이덕형의 가계와 생애 / 이성무[한국역사문화연구원장]
1. 머리말
2. 가계
3. 유년(幼年)시절과 입사(入仕)
4. 임진왜란
5. 대북정권 아래서 살다
6. 이덕형에 대한 평가
임진왜란 무렵 이덕형의 외교 활동 / 한명기[명지대학교]
머리말
1.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의 대일외교(對日外交) 활동
2. 선조(宣祖) 파천(播遷) 시기의 대명(對明) 청원(請援) 외교
3. 이여송(李如松)의 접반사(接伴使) 활동
4. 명군 접반(接伴) 과정에서 얻은 문물과 기예의 활용 시도
5. 임진왜란 중의 대여진(對女眞) 대책과 종전 이후의 대일외교
맺음말
한음 이덕형의 사우 및 교유 관계 / 김학수[한국학중앙연구원]
1. 머리말
2. 가문적 배경 : 한음 선대의 인적 관계망
3. 한음 이덕형의 사우 및 교유 관계
4. 맺음말
선조 조의 정국과 한음 이덕형의 정치 활동 / 이영춘[국사편찬위원회]
1. 序說
2. 宣祖代의 정치 局面과 漢陰의 관료 생활
3. 壬辰倭亂 중 漢陰의 國難克服 활동
4. 結語
광해군 대의 정국과 이덕형의 정치․외교 활동 / 신병주[건국대학교]
머리말
1. 가계와 관력
2. 광해군 이전의 정치․외교 활동
3. 광해군 대의 외교 활동
4. 광해군 대의 정치 활동
5. 역모 정국에 대한 입장
맺음말
이덕형의 경세 사상 / 정재훈[경북대학교]
1. 머리말
2. 학문과 철학 사상
3. 정치·외교 사상
4. 사회·경제·국방 사상
5. 맺음말
한음 이덕형의 문학세계 / 심경호[고려대학교]
1. 서언
2. 한음 이덕형의 사적
3. 『한음문고』의 구성
4. 이덕형의 시
5. 이덕형의 산문
6. 이덕형의 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단서
7. 이덕형의 교유 인물
8. 맺음말
조선 후기 남인계 가문의 정치·사회적 동향 / 이근호[한국학중앙연구원]
1. 머리말
2. 한음 사후 위선 사업과 변무록(辨誣錄) 시비
3. 무신란(戊申亂)과 한음의 국불천위(國不遷位) 인정
4. 성호학파(星湖學派) 참여와 한음 연보(年譜) 간행
5. 맺음말
오성과 한음 기사에 대한 재검토 / 박인호[금오공과대학교]
1. 머리말
2. 오성과 한음의 교유 양상
3. 오성과 한음의 교유 기사의 문제점
4. 맺음말
한음 이덕형의 후대 평가와 추숭 사업 / 오용원[한국국학진흥원]
1. 서언
2. 한음에 대한 후인들의 평가와 영남 사람들과의 교유
3. 한음의 근암서원(近巖書院) 배향(配享)과 현창(顯彰)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