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일상의 마음을 담는 국악을 꿈꾸며
I 우리 일상의 음악, 국악
친숙한 소리, 국악의 재발견
01 국악 감상 첫걸음
국악은 어디서 배우나요?
국악도 오케스트라처럼?
태초에 악보가 있었다
국악기와 서양악기의 불협화음
전통은 감각으로 전해진다
새로운 미래를 만드는 국악인
02 일상에서 국악 즐기기
악기는 또 다른 나
명창의 길, 득음의 조건
국악이 변한다
국악으로 하는 태교
백 번 듣기보다 한 번 찾는 것이 낫다
나를 알면 국악이 즐겁다
II 우리의 음악 DNA, 국악
국악의 큰 두 갈래
01 정악, 마음을 다듬는 소리
수제천- 인간 세상으로 내려온 천상의 소리
수제에 쓰이는 악기_ 피리, 해금, 아쟁
영산회상- 문인의 멋, 풍류의 멋
맑음 속의 오묘함과 선명함_ 양금
정가- 다시 이런 운치는 없다
선비들이 사랑한 악기_ 거문고
종묘제례악- 예를 갖추는 음악
엄숙함을 더하는 타악기들_ 편종, 편경, 축, 어, 박
가야금 병창- 오감으로 만드는 소리
연주자를 빛내는 악기_ 가야금
산조- 인간의 모든 감정을 한바탕에 녹여내다
산조의 매력_ 대금
02 민속악, 삶을 느끼는 소리
민요- 노래에 담긴 민중의 서정
친숙하거나 생경하거나_ 소금, 단소, 생황
사물놀이- 조이고 푸는 두드림의 소리
사물놀이의 모든 것_ 장구, 북, 꽹과리, 징
판소리- 어떤 것도 아니면서 모든 것인 예술
새로운 전통_ 개량 국악기
신 판소리- 세속적으로, 때로는 외설적으로
변화하는 시대의 판소리_ 창극
판소리 명창- 시대를 초월한 종합예술인
판소리의 큰 줄기_ 동편제와 서편제, 그리고 중고제
진도 씻김굿- 마음을 치유하는 종합예술의 결정판
망자를 부르는 소리_ 진도 씻김굿의 연행 절차
III 지금, 우리의 소리꾼
젊어진 국악, 넓어지는 지평
01 오늘의 예인들
황병기- 전통은 흐른다
강은일과 꽃별- 당신의 마음을 빼앗은 해금
정민아와 최민지- 새로운 옷을 입은 병창
이경섭- 다다익선의 소리
바이날로그와 앙상블 시나위- 최상의 연주력, 국악 실내악단
거문고 팩토리와 숨[su:m]- 멈추지 않는, 고이지 않는
잠비나이- 국악, 록을 만나다
남상일과 이자람- 깊은 공력의 젊은 소리꾼
한승석과 정재일- 판소리와 피아노의 절묘한 앙상블
조세린과 힐러리 핀첨 성- 파란 눈의 국악인
부록
용어 설명
정간보 읽기
주요 국악기 명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