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총서 39권. 아프리카 원주민어의 음성학적 특징을 실험을 통해 규명 및 보완했고, 음운규칙의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했으며, 국내에서 제2언어와 제3언어의 언어변이형을 동시에 규명한 최초의 연구서이다.
목차
서문 1장 서론 1.1 영어의 지역 방언과 변이형 1.1.1 필리핀 영어의 음운론적 특징 1.1.2 호주 영어의 음운론적 특징 1.1.3 아프리카 영어의 음운론적 특징 1.1.3.1 서아프리카 영어(WAE) 1.1.3.2 동아프리카 영어(EAE) 1.1.3.3 남아프리카 영어(SAE) 1.2 제2언어와 제3언어 2장 아프리카인의 제2 및 제3언어: 영어와 한국어의 음운론 기초 2.1 제2언어 영어 2.1.1 자음과 모음의 특징 2.1.2 음운규칙 2.1.2.1 동화 2.1.2.2 이화 2.1.2.3 탈락 2.1.2.4 삽입 2.1.2.5 융합 2.2 제3언어 한국어 2.2.1 자음과 모음의 특징 2.2.2 음운규칙 2.2.2.1 동화 2.2.2.2 탈락 2.2.2.3 첨가 2.2.2.4 융합 2.2.2.5 중화 2.2.2.6 기타 2.3 연구 방법 3장 아프리카인의 제1언어의 음운론적 특징5 3.1 르완다: 키냐르완다(KINYARWANDA) 3.1.1 르완다의 역사와 언어 3.1.2 키냐르완다 음성 및 음운론 3.2 콩고: 키콩고(KIKONGO)와 링갈라(LINGALA) 3.2.1 콩고의 역사와 언어 3.2.2 키콩고어의 음성 및 음운론 3.2.3 링갈라의 음성 및 음운론 3.3 나이지리아: 하우사(HAUSA) 3.3.1 나이지리아의 역사와 언어 3.3.2 하우사어의 음성 및 음운론 3.4 이디오피아: 암하라(AMHARIC) 3.4.1 이디오피아의 역사와 언어 3.4.2 암하라어의 음성 및 음운론 4장 아프리카인의 제2언어로서의 영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특징 4.1 르완다인의 영어 4.1.1 자음과 모음 4.1.2 영어 음성 및 음운규칙 4.2 콩고인의 영어 4.2.1 자음과 모음 4.2.2 영어 음성 및 음운규칙 4.3 나이지리아인의 영어 4.3.1 자음과 모음 4.3.1 자음과 모음 4.3.2 영어 음성 및 음운규칙 4.4 이디오피아인의 영어 4.4.1 자음과 모음 4.4.2 영어 음성 및 음운규칙 5장 아프리카인의 제3언어로서의 한국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특징 5.1 르완다인 학습자 5.1.1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5.1.2 한국어 음성 및 음운규칙 5.2 콩고인 학습자 5.2.1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5.2.2 한국어 음성 및 음운규칙 5.3 나이지리아인 학습자 5.3.1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5.3.2 한국어 음성 및 음운규칙 5.4 이디오피아인 학습자 5.4.1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5.4.2 한국어 음성 및 음운규칙 6장 결론: 아프리카인 다중언어 사용자의 언어 양상 6.1 제1언어와 제2언어의 상호작용 6.1.1 아프리카인의 제2언어 학습 시기 6.1.2 아프리카인의 제1언어의 전이 6.1.3 보편문법의 영향 6.2 제2언어의 음운 변이형 6.3 제3언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특징 참고문헌 색인
서가브라우징
(여행필수) 체코어 회화2004 / 김규진 著 / 문예림
(가장 알기 쉬운)체코어 회화2005 / 김은해 지음 / 삼지사
(알기 쉬운)체코어 입문1996 / 외국어연구보급회 편 / 명지출판사
(한글만 알면)꿩먹고 알먹는 슬로바키아어 첫걸음2008 / 김계영 지음 / 문예림
(가장 알기 쉬운)슬로바키아어 회화2005 / 김은해 지음 / 삼지사
(한글만 알면)꿩 먹고 알 먹는 스와힐리어 첫걸음2010 / 박정경 지음 / 문예림
(한글만 알면)꿩 먹고 알 먹는 스와힐리어 첫걸음2010 / 박정경 지음 / 문예림
아프리카어 화자의 다중언어의 음성·음운론적 특성 : 영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2017 / 지음: 윤관희 / 한국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