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저자가 대학과 대학원에서 강의해 온 문장론과, 창작이론과 연습, 국어교육 방법론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엮은 책이다. 본문은 '문장의 읽기관점과 주제 구성', '생각 키우기와 글쓰기 연습', '논술문 쓰기의 유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Ⅰ. 문장의 읽기관점과 주제 구성
1. 읽기관점
1) 제한·한정 전제어(구·문) 읽기관점
2) 조건·동기 전제어(구·문) 읽기관점
3) 원인·조건·가정·지정 종속절 읽기관점
4) 주체적(주어, 주어부) 읽기관점
2. 중심문의 위치
1) 주장예시·환언·상술의 문장
2) 전제(이유)주장의 문장
3) 점층적 전개의 문장
4) 변증적 문장(전제반론주장)
5) 문제원인해결의 문장
6) 연쇄적 문단의 전개
7) 병렬의 문장
8) 직서적 전제와 비유적 주장
9) 문장의 전개 유형
3. 중심문의 정리
4. 요지와 주제의 구성
1) 요지와 주제의 구성방법
2) 요지와 주제의 구성연습
5. 중심문의 재구성과 요지·주제
1) 주어부 읽기관점
2) 서술부 읽기관점
3) 지정 전제문 읽기관점
4) 병렬된 읽기관점
5) 제한·한정 전제문 읽기관점
6) 결과문 읽기관점
7) 부정문의 긍정적 전환
8) 「관형어+명사」형의 읽기관점
9) 설의문의 평서문 전환
10) 수식어구의 삭제
11) 환언의 삭제
12) 어구나 문장의 간소화
Ⅱ. 생각 키우기와 글쓰기 연습
1. 글의 내용과 쓰기의 방법
2. 정보 수집과 자기 의견의 개발
3. 인간의 행위와 상대적 가치관
4. 생각 키우기 : 새로운 가치관의 생산방법
1) 알고 있는 정보 분석
2) 관습에 대한 반대·부정
3) 역지사지(易地思之)
4) 안팎의 뒤집기
5) 브레인스토밍
6) 직관
7) 수직적 사고와 수평적 사고의 상호전환
8) 회색논리
9) 비유와 유추
10) 더하기·빼기·바꾸기
11) 중간과정의 복원
12) 확대와 축소
5. 글쓰기 연습
1) 자료의 수집
2) 개요의 작성과 자료의 정리
3) 글쓰기의 실제
Ⅲ. 논술문 쓰기의 유형
1. 화제에 대한 의미부여
1) 화제제시와 의미부여→논거·예시·상세화→화제의 의미 재확인 및 요약
2) 화제제시→ 논거(주장의 전제)→ 주장
3) 화제제시→화제의 특수화1·화제의 특수화2·화제의 특수화3·……→특수화한 화제들의 일반화
2. 문제의 발견과 해결
1) 문제적 상황(일반적문제)→일반적 문제의 특수화→문제의 해결 방안→희망사항 또는 기대
2) 문제적 상황의 경험적 진술→문제적 상황의 일반화→문제적 상황의 이해→문제적 상황의 핵심과 필자의 태도
3. 서로 다른 의견에 대한 비판과 주장
1) 화제 제시→(화제에 대한)긍정적 견해→(화제에 대한)부정적 견해→의견의 종합
2) (화제와 관계된) 문제적 상황→화제의 문제성에 대한 논란→화제에 대한 부정적 사례들→해결방향 암시
Ⅳ. 논술문의 도입·전개·결말 쓰기
1. 도입 부분의 첫 문장·첫 단락의 유형
1) 화제에 대한 역사적 접근
2) 화제와 관계된 사회적 관심거리
3) 규정이나 제도에 대한 비판
4) 사건적 상황
5) 남의 말·작품인용·일화·속담·경구
6) 통계 및 조사의 결과
7) 개념의 정의나 용어의 해설
8) 문제적 상황 또는 현상
9) 경험적 사실
10) 학설이나 사상적 담화
11) 물음과 답변
12) 사회의 경향
13) 현실적 가정이나 상상
14) 새 소식
15) 가치판단의 기준제시
16) 주장
2. 전개부분의 유형
1) 예시·상술
2) 원인
3) 논거
4) 지향하는 가치나 진실
5) 긍정과 부정
6) 비교·대조
7) 유래·기원
8) 기능·역할·목적·용도·형태·성질
9) 통계적 자료나 현황분석
10) 중요한 가치와 특징
11) 이야기·일화
12) 주장(주지문, 소주제문)
3. 결말의 유형
1) 화제에 대한 전개내용의 요약 또는 일반화
2) 화제·문제의 분석에 따른 주장
3) 논거에 따른 주장과 기대
4) 깨달음의 촉구
5) 인용으로 주장 암시
Ⅴ. 시의 읽기관점과 표현기술
1. 시의 읽기관점과 심상
2. 시의 정감·분위기·어조·느낌
3. 시의 운율
4. 시의 언어적 표현기술
1) 진술과 설명
2) 묘사와 서사
3) 비유와 상징의 위상적 해석
4) 역설과 아이러니
5) 직관
Ⅵ. 시 읽기의 실제적 방법
1. 직서적 읽기
2. 비유적 읽기
3. 상징적 읽기
4. 상황적 읽기
5. 직관적 읽기
Ⅶ. 시의 구성과 전개방법
1. 서사적 전개
2. 화제·제재의 심상화
3. 공간 이동과 화제·제재·상황의 전개
4. 시간 진행과 정황의 전개
5. 문제와 해결에 의한 전개
Ⅷ. 수필문 쓰기의 유형
0. 수필문의 구성에 대한 이해
1) 수필의 화제와 화자의 태도
2) 화자의 서술시점과 시간 구조
3) 수필의 구성과 전개방법
1. 서사적 상황의 정감과 의미화
2. 인물·화제·제재에 대한 감성적 성찰
3. 문제적 상황과 해결
4. 시간의 진행과 공간이동
5. 화제·제재에 대한 지성적 사색
6. 화제·제재에 대한 관조적 성찰
7. 사물·관념에 대한 직관적 소통
▶ 찾아보기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