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무용사상 = Ideas in contemporary dancd : expression & deconstruction : 표현과 해체
발행연도 - 2016 / 지음: 김말복, 이지원, 이지선, 나일화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도서관
청라국제도서관
-
자료실
[청라국제]보존서고(일반)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I0000033208
-
ISBN
9791158901714
-
형태
430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공연예술 및 매체예술
>
무용, 발레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무용
>
무용이론/비평/역사
책소개
20세기 무용이 당대의 시대사상들과 공유하는 핵심적인 예술 가치와 이념들을 ‘표현과 해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풀어내고 있는 무용학 연구서이다. 20세기 중요한 사상들의 중심에 무용예술을 두고 이들의 상호 연관성을 바탕으로 무용사상을 탐구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_ 20세기 현대 춤의 표현
제1장 로이 풀러의 아르누보적 상징 / 김말복
1. 로이 풀러의 작품 스타일
2. 아르누보의 선구
3. 상징주의 이론의 화신
제2장 독일 모던 댄스와 실존주의 / 이지원
1. 실존주의 철학의 개념과 의미
2. 20세기 초엽 춤에 나타난 인간 실존의 문제와 해석
3. 독일 현대 춤에 나타난 인간의 유한성, 파토스, 주체성에 관한 논의
제3장 춤의 현대성과 기호학적 해석 / 이지선
1. 기호학의 형성과 주요 개념
2. 무용예술기호론
제4장 예술심리학과 움직임의 표현 / 나일화
1. 예술심리학, 그리고 주요한 논의들
2. 20세기 현대 춤의 심리 표현
제5장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무용 / 나일화
1. 리얼리즘과 예술
2. 20세기 무용의 리얼리즘 경향과 표현 특성
제2부 _ 해체 시대의 춤
제6장 니체와 20세기 현대 춤 / 김말복
1. 니체의 사상과 이성 비판
2. 니체의 춤
3. 20세기 춤에 나타난 니체적 반향
제7장 해체미학의 선구 머스 커닝엄 / 김말복
1. 후기구조주의와 해체
2. 저자의 죽음과 독자의 탄생
3. 머스 커닝엄의 혁신적 무용사상
4. 해체주의자 머스 커닝엄
제8장 포스트모더니티와 현대 춤의 비표현 / 이지선
1. 포스트모더니즘의 의미와 담론
2. 모더니즘과 춤 표현의 의미
3. 포스트모던 댄스의 반모더니즘과 비표현 전략
제9장 데리다의 해체론과 현대 춤의 탈중심화 / 이지선
1. 해체론의 이해
2. 현대 춤의 탈중심화 논의
제10장 후기 현대 춤의 마이너리티 / 이지원
1. 마이너리티의 개념과 이해
2. 춤추는 주체의 마이너리티 논의
3. 현대 춤에 나타난 육체와 욕망 그리고 시간의 경계로부터 탈주
제3부 _ 컨템퍼러리 현장
제11장 푸코와 포사이드의 ‘헤테로토피아’ / 김말복
1.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2. 포사이드의 소멸하는 춤 사유
3. 「헤테로토피아」에 나타나는 푸코적 사유 특성
제12장 디지털 융합과 포스트 코레오그래피 / 이지선
1. 디지털 융합의 이해
2. 현대 춤의 ‘논리-코드’ 층위에 나타난 디지털 융합 특성
제13장 컨템퍼러리 댄스의 신체 확장과 재구성 / 나일화
1. 20세기 후반 신체의 인식과 변화의 흐름
2. 컨템퍼러리 댄스에서의 신체 확장
제14장 한국 컨템퍼러리 댄스의 글로컬 경향 / 나일화
1. 글로컬의 개념과 다른 영역에서의 사례
2. 한국 컨템퍼러리 댄스 작품에 나타난 글로컬 표현
원문 출처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