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K연구단이 제창한 '공동자원론'이 기반하여 기획되었다. 공공재 성격을 가진 자연자원에 대한 사유화로 인해서 빚어지는 자연파괴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제주'라는 특수한 자연, 문화 공간에서 그 흔적을 발견하고 되살리는 접근 방식으로 기획되었다.
목차
공동자원연구총서 서문 최현 5 공동자원의 섬 제주 1권 서문 정영신 9
제1부 공동자원론을 제창하며 21 제1장 공동자원이란 무엇인가? 최현 23 제2장 공동자원론의 쟁점과 한국 공동자원 연구의 과제 최현·따이싱셩 41 제3장 엘리너 오스트롬의 공동자원론을 넘어서 :자원관리 패러다임에서 커먼즈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접근으로 정영신 80
제2부 땅 127 제4장 제주의 공동목장 : 공동자원으로서의 특징 최현 129 제5장 지도로 보는 제주도 공동목장 해체의 실태 김성훈 153 제6장 제주 마을공동목장 해체의 원인과 사회,생태적 귀결 윤순진 177 제7장 제주 마을공동목장의 재생 사례들 유병연 234
제3부 물 259 제8장 제주의 토지와 지하수 : 공동자원으로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최현 261 제9장 공수에서 공동자원으로 : 제주 지하수의 먹는 샘물용 증산 논란을 중심으로 김선필 289 제10장 제주 용천수의 이용관행과 물 공동체 문경미 326 제11장 제주도 마을어장 관리제도의 변천 강경민 365
제4부 바람 409 제12장 제주의 바람은 누가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가? 최현·김선필 411 제13장 제주도 바람의 자본화에 저항하는 풍력자원 공유화운동 김동주 442 제14장 인문 공동자원으로서 ‘바람風, 希望’ : 한국학 전통에서 본 제주 바람 김치완 483
서가브라우징
시민2008 / 신진욱 지음 / 책세상
민중 만들기 :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재현의 정치학2015 / 이남희 지음 ; 유리, 이경희 [공]옮김 / 후마니타스
어린이 문화 운동사2014 / 이주영 글 / 보리
나이 듦을 배우다 : 젠더, 문화, 노화2016 / 지음: 마거릿 크룩섕크 ; 옮김: 이경미 / 동녘
(이주하는 인간,)호모 미그란스 = Homo migrance : 인류의 이주 역사와 국제 이주의 흐름2016 / 조일준 지음 ; , / 푸른역사
재일한인 디아스포라 :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과 재일본한국인연합회의 단체 활동과 글로벌 네트워크2015 / 지충남 저 / 마인드탭
내 이름은 욤비2014 / 지음: 욤비 토나 ; 박진숙 [공] / 이후
공동자원의 섬 제주 = Jeju, the island of the commons. 1, 땅, 물, 바람2016 / 지음: 최현 외 / 진인진
공동자원의 섬 제주 = Jeju, the island of the commons. 2, 지역 공공성의 새로운 지평2016 / 지음: 최현 외 / 진인진
잃어버린 야생을 찾아서 : 어제의 세계와 내일의 세계2016 / 제임스 매키넌 지음 ; 윤미연 옮김 / 한길사
흐르는 강물처럼 : 4대강 르포르타주 : 우리 곁을 떠난 강,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2011 / 글: 송기역 ; 사진: 이상엽 / 레디앙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