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Ⅰ. 근대 유교계의 여러 모습과 연구 성과
1. 근대 유교계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2. 지금 연구는 어디까지 왔나
3. 유교의 종교성을 둘러싼 담론들
Ⅱ. 근대 유교개혁론의 전개 배경과 과정
1. 근대 동아시아 사회의 변화
2. 유교계의 분화와 현실 인식
3. 유교계의 친일화 경향
4. 근대 유교개혁론의 전개
Ⅲ. 조선 총독부의 유교 정책과 경학원의 설치
1. 1910년대 조선 총독부의 유교 정책
2. 경학원의 설치 배경
3. 경학원의 조직과 주요 산업
4. <포교규칙>의 공포와 유교계의 위상 변화
Ⅳ. 3.1운동과 유교 정책의 변화
1. 3·1운동 이후 유교 정책의 변화와 유림의 동향
2. 1920년대 <향교재산관리규칙> 시행과 성격
Ⅴ. 친일 유림 육성책과 유교계의 분화
1. 항일 독립운동의 분화
2. 친일 유림의 일본 인식과 협력
Ⅵ. 1920-1930년대 유교의 종교화운동
Ⅶ. 전시체제기 황도유학의 성격
1. 황도유학의 등장 배경
2. 내선일체 정책과 황도유학의 제창
3. 황도유학의 논리와 허구성
Ⅷ. 조선유도연합회의 결성과 유교계의 협력
1. ‘국민총력운동’ 체제의 구축
2. 조선유도연합회의 결성
3. 유교계의 전쟁 협력
Ⅸ. 유교 교육의 변질
1. 명륜학원의 설립
2. 충량한 황국신민의 양성
Ⅹ. 근대 유교의 정체성
부록 주요 친일 유림 이력과 활동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