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포용과 배제의 사이 아시아에서 공동체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것 / 이찬수
01. 지금, 왜 아시아 공동체인가 / 정준곤
1. 아시아 공동체론 강의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점
2. 전체적인 시점으로 다양한 아시아를 다양하게 보라
3. 선입관과 마음의 벽 깨기
4. 직접 발을 내딛고, 경험하고, 상상하라
5. 국가의 벽을 ‘졸업’하자
6. 사람의 이동: 다양성과 포용을 통한 융합
7. 국민국가를 뛰어넘어, 다양성의 열린 공동체로
8. 아시아 공동체론 강의를 끝내며
02. 아시아란 무엇인가 / 김경동
1. 서론
2. 서방 지성의 눈에 비친 아시아
3. 내부에서 바라본 아시아
4. 아시아란 무엇인가? 결론을 대신하여
03. 공동체의 경계는 어디까지일까 / 이찬수
1. 들어가는 말
2. 동(同)을 공유함(共)
3. ‘우리’와 공동주체성
4. 세계화의 동력, 종교
5. 종교공동체의 경계
6. 최대주의적 종교와 폭력
7. 근대 국민국가와 폭력
8. 종교의 주체
9. 국민국가를 넘어
10. ‘일국’과 ‘일국적’, 그리고 세계시민주의
11. 나가는 말: 한국문화적 가능성
04. 동아시아 평화공동체의 구축을 향해 / 사나다 요시아키
1. 지금 우리들의 문제
2. 일본의 근대화와 폐쇄된 하나, 핫코 이치우(八紘一宇)
3. 열린 하나의 고난과 좌절의 길
4. 작은 열린 하나에서 큰 열린 하나로 살아간 선각자들
5. 원 아시아의 길을 추구하며
05. 신유교의 대동과 화합의 공동체 구상 / 신현승
1. 머리말
2. 신유교의 이상 사회론과 인(仁)의 공동체
3. 담사동의 인(仁)의 공동체 구상과 대동
4. 맺음말
06. 안중근과 동북아 평화공동체의 모색 / 김대식
1. 반평화적 상징인 이토에 대한 안중근의 저격 사건 이해
2. 안중근 의거의 종교적 배경과 평화공동체를 위한 종교의 역할
3.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한반도 중립화론
4. 중립화론과 동아시아 평화정치공동체
5. 안중근의 세계 평화공동체론
07. 동아시아 안보공동체 / 서보혁
1. 동아시아, 그리고 안보공동체
2. 동아시아 안보 환경
3. 동아시아 안보공동체 구상
4. 한국의 역할
08. 결국은 평화다 / 이찬수
1. 공동체의 근간, 평화
2. 평화 개념의 해체와 재구성
3. 인식의 다양성과 평화다원주의
4. 평화는 폭력을 줄이는 과정
5. 폭력을 줄이며 공감으로 나아가기
주석
참고문헌
저자 소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