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장 급수설비
1-1 개요
1-2 용어의 정의
1-3 상수의 공급
1-4 사용수량
1-5 급수량의 산정 방법
1-6 급수방식
1-7 기기
1-8 급수관의 관경 결정
1-9 배관 재료
1-10 시공
1-11 시험 및 검사
제2장 급탕설비
2-1 개요
2-2 용어의 정의
2-3 탕의 성질
2-4 급탕온도
2-5 급탕량
2-6 가열기 능력과 저탕용량의 산정
2-7 급탕방식
2-8 가열장치
2-9 가열기 용량의 산정
2-10 급탕배관방식
2-11 급탕관의 관경 및 순환펌프의 결정
2-12 안전장치
2-13 배관재료
2-14 시공
제3장 위생기구
3-1 개요
3-2 용어의 정의
3-3 대변기 및 세척방식
3-4 소변기 및 세척방식
3-5 수세기, 세면기
3-6 욕조
3-7 샤워
3-8 싱크류
3-9 신체장애인용 위생기구
3-10 설비 유닛
3-11 절수설비와 절수기기의 종류 및 기준
3-12 공중화장실 등의 설치기준
3-13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을 위한 욕실
3-14 위생기구의 설치기준
3-15 시험 및 검사
제4장 배수ㆍ통기설비
4-1 개요
4-2 용어의 정의
4-3 배수계통
4-4 통기계통
4-5 배수, 통기용 배관재료
4-6 배관시공
4-7 우수배수설비
4-8 배수설비의 세부설치기준
제5장 하수처리시설
5-1 개요
5-2 용어의 정의
5-3 개인하수처리시설
5-4 방류수의 수질기준
5-5 개인하수처리시설 제조제품의 구조ㆍ규격ㆍ재질 및 성능 기준
5-6 건축물의 용도별 오수발생량 및 정화조 처리대상인원 산출방법
5-7 성능검사 및 재질검사의 방법
5-8 중수도설비
제6장 가스설비
6-1 개요
6-2 용어의 정의
6-3 가스의 종류
6-4 가스의 비중
6-5 가스의 연소
6-6 도시가스
6-7 가스의 공급설비
6-8 시험 및 검사
제7장 소방설비
7-1 개요
7-2 용어의 정의
7-3 소방설비의 종류 및 적응성
7-4 소화설비
7-5 경보설비
7-6 피난설비
7-7 소화용수설비
7-8 소화활동설비
7-9 관리 및 운영
제8장 피뢰설비
8-1 개요
8-2 용어의 정의
8-3 피뢰설비 구성
제9장 방범설비
9-1 개요
9-2 방범 단말검출기의 종류
9-3 주요 단말검출기의 특징 및 용도
9-4 주택에서의 방범환경설계
9-5 매장에서의 방범환경설계
제10장 공기조화설비
10-1 개요
10-2 용어의 정의
10-3 공기의 상태량과 공기선도
10-4 공기조화설비의 계획
10-5 공조부하
10-6 공기조화장치
10-7 자동제어
10-8 중앙관제장치
제11장 난방설비
11-1 난방설비의 종류
11-2 개별 난방설비의 기준
11-3 온돌의 설치기준
11-4 난방용 방열기
11-5 증기난방
11-6 온수난방
11-7 복사난방
11-8 온풍난방
11-9 지역냉난방
제12장 환기설비
12-1 개요
12-2 용어의 정의
12-3 자연환기설비
12-4 기계환기설비
12-5 혼합형 환기설비
12-6 에너지 회수형 환기 시스템
12-7 필요환기량의 기준 및 계산
12-8 공기의 정화
12-9 공기중의 진애량
12-10 진애 측정 방법
12-11 클린룸
제13장 전원설비
13-1 전기설비의 개요
13-2 수변전설비
13-3 예비 전원설비
제14장 부하설비
14-1 조명설비
14-2 동력설비
14-3 항공장애표시등 및 항공장애주간표지
제15장 정보설비
15-1 청장치(聽裝置)설비
15-2 시장치(視裝置)설비
15-3 시청(視聽)장치설비 및 부속장치
15-4 인텔리전트 빌딩
제16장 배선설비
16-1 전선
16-2 수전전압, 수전방식
16-3 배선공사 방법
16-4 간선
16-5 분기회로
16-6 배선기기
16-7 배관재료
16-8 배선재료
16-9 접지용 배선
제17장 수송설비
17-1 개요
17-2 엘리베이터
17-3 화물용 승강기
17-4 에스컬레이터
17-5 이동 보도
17-6 컨베이어
17-7 기송관 장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