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노예제사회에서 중세 농노제로의 이행을 다룬 최초의 국내 학자 저서이다. 역사연구는 원사료에 기초해야 한다는 신념으로, 라틴어로 된 원사료를 철저히 분석하고 서양 학자들의 최신 연구성과와 학설을 비판적으로 이용하면서 저자 나름의 타당하고 설득력 높은 이행론을 제시한다.
목차
책 머리말
제1부 노예제사회로부터 농노제로의 이행 I. 농노제와 노예제의 개념: 기존의 개념규정에 대한 재검토 1. 머리말 2. 농노제와 노예제의 개념에 대한 기존 학계의 규정 3. 기존 개념규정의 문제점과 새로운 개념규정의 모색 4. 맺음말 II. 중세 초기 노예제사회로부터 농노제로의 이행과정 1. 머리말 2. 중세 초의 서유럽사회는 노예제사회였는가? 3. 부자유인의 농노화 과정 4. 자유인의 농노화 과정과 통합적인 농노계급의 형성 5. 맺음말 III. 이행동인으로서의 기독교, 계약, 인구 및 노동력에 대한 검토 1. 머리말 2. 기독교 및 계약 3. 로마제정시대와 중세 초기의 인구동향 4. 노예노동력의 감퇴와 생산관계의 변화 5. 맺음말 IV. 이행동인으로서의 생산력발전 및 계급투쟁에 대한 검토 1. 머리말 2. 생산력발전 3. 계급투쟁 4. 맺음말
제2부 봉건적 주종관계의 형성 V. 고대의 주종관계와 메로빙시대의 주종관계 발전 1. 머리말 2. 고대사회의 주종관계 3. 메로빙시대 전기의 주종관계 4. 메로빙시대 후기의 주종관계 발전 5. 맺음말 VI. 카롤링왕조와 봉건적 주종관계의 제도적 성립 1. 머리말 2. 기본적 의무관계의 형성실태 3. 기타 여러 측면의 봉건적 주종제도 형성실태 4. 맺음말 VII. 카롤링시대의 봉건적 주종관계 확산 1. 머리말 2. 봉건적 주종관계의 다층화와 공고화 3. 봉건적 주종관계의 공간적 확산 4. 맺음말
제3부 이행기의 인종문제 VIII. 초기 프랑크사회에서의 로마인의 지위 1. 머리말 2. 살인배상금과 친족 3. 프랑크법 속의 ‘Romanus’의 의미 4. 로마인 차별과 그 성격 5. 맺음말
전체 맺음말: 봉건사회의 성립시기에 대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빛의 시대, 중세: 폭력과 아름다움, 문명과 종교가 교차하던 중세 이야기2023 / 저: 매슈 게이브리얼, 데이비드 M. 페리; 역: 박수철 / 까치
중세를 오해하는 현대인에게2021 / 지음: 남종국 / 서해문집
서양의 장원제 : 프랑스와 영국의 장원제에 대한 비교사적 고찰 2020 / 마르크 블로크 지음 ; 이기영 옮김 / 한길사
중세 이야기 : 신들과 전쟁, 기사들의 시대 2021 / 지음: 안인희 / 지식서재
중세의 길거리의 문화사 : 중세 서민들의 생활사, 길거리의 장사꾼 이야기2015 / 양태자 지음 / 이랑Books
워릭 백작 리처드 네빌 : 장미전쟁의 킹메이커2019 / 찰스 오만 지음 ; 이지훈, 박민혜 옮김 / 필요한책
낯선 중세 : 잃어버린 세계, 그 다채로운 풍경을 거닐다2018 / 지음: 유희수 / 문학과지성사
고대에서 봉건사회로의 이행 : 서유럽 농노제와 봉건적 주종관계의 형성 및 인종문제2017 / 이기영 지음 / 사회평론
미래가 있던 자리2022 / 지음: 아네테 케넬; 옮김: 홍미경 / 지식의날개:
대담한 작전 : 서구 중세의 역사를 바꾼 특수작전 이야기2017 / 유발 하라리 지음 ; 김승욱 옮김 / 프시케의숲
12세기 르네상스2017 / 지은이: C. H. 해스킨스 ; 옮긴이: 이희만 / 혜안
(다시 쓰는)술탄과 황제 : 콘스탄티노플 함락 전쟁 완결판, 두 제국 군주의 리더십 대격돌!2016 / 김형오 지음 / 21세기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