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문학을 재해석하고, 탐구한 책. 문학과사상연구회는 그간 염상섭, 채만식, 임화, 이광수, 이태준, 이효석 등 한국의 대표 작가들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평가를 담은 '재인식' 시리즈를 독자들에게 선보여 왔다. 이상은 '재인식' 시리즈의 10번째를 차지하는 작가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이상(李箱) 소설 연구방법론의 역사 / 양문규 1. 머리말 2. 리얼리즘과 모더니즘론의 구도-식민지 시기 3. 사회·윤리적 비평-1960∼70년대 4. 심리학적·전기적 방법론-1970∼80년대 이후 5. 마르크스주의와 문화연구의 방법론-1990년대 이후 6. 맺음말 이상(李箱) 문학의 정전화 과정에 대하여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경우 / 최현식 1. 이상(李箱)과 정전(正典), 그리고 교과서 2. 이상 텍스트의 집성과 정전화의 원리 및 배경 3. 『국어』·『문학』에서 이상 ‘정전’의 선택과 배제의 문법
제2부 『12월 12일(十二月十二日)』 다시 읽기-발표 매체의 특성과 문단사적 의미를 중심으로 / 김영민 1. 머리말 2. 국문판 『조선』의 서지와 문예면의 필자들 3. 『12월 12일』 다시 읽기 4. 마무리 이상(李箱)의 「지주회시(鼅鼄會豕)」에 대한 해석-한국문학에 대한 에세이 1 / 이현식 질투의 오르가즘-이상(李箱)과 아리시마 타케오(有島武郞), 그리고 오토 바이닝거에 관하여 / 한수영 1. 이상 문학의 난해성과 상호텍스트적 접근의 필요성 2. 이상 소설에 나타난 성윤리와 여성형상의 특징 3. 아리시마 타케오와 한국 근대문학-이상의 전사(前史)로서의 염상섭의 경우 4. 아리시마 타케오의 소설과 이상의 소설 5. 맺음말 이상의 근대 비판과 일본 / 김재용 1. 근대 비판으로서의 이상의 글쓰기 2. 이상의 동경행과 근대의 출장소 일본 3. 근대 세계체제의 바깥과 막다른 골목의 곤혹
제3부 최후의 모더니스트 이상(李箱) / 유성호 1. 최초와 최후의 모더니즘 2. 부정 정신을 통한 해체와 통합의 양가적 가능성 3. 몸의 상상력으로서의 이상 시 4. 아방가르디즘으로서의 이상 이상(李箱) 시의 시간의식 연구 / 장철환 1. 서론-시간의 대칭성 문제 2. 현재로부터의 탈주와 과거로의 소급운동 3. 시간의식의 착종과 ‘종합된 역사의 망령’ 4. ‘아버지의 요구’와 미래로의 투기 5. 결론-기교와 절망의 환유 ‘가외가(街外街)’와 ‘인외인(人外人)’-이상(李箱)의 시 「가외가전(街外街傳)」(1936)에 나타난 일제강점기의 공간 정치와 주체 분할의 이미지들 / 신형철 1. 의미심장한 누락의 역사-왜 「가외가전」인가? 2. “이 세기의 곤비(困憊)와 살기(殺氣)”-「가외가전」의 역사철학적 배경 3. ‘가외가(街外街)’와 ‘인외인(人外人)’-식민지 경성 도시화 정책 비판 4. 결론을 대신하여-모더니즘적 ‘기법’과 리얼리즘적 ‘태도’ 모나드적으로 연결된 이상(李箱)의 작품 세계 / 배현자 1. 우주론적 원리를 담아내고자 한 이상의 작품 세계 2. 모나드적 연결 3. 모나드적 연결로 파생된 중층적 은유의 미로
간행사
서가브라우징
대합실의 추억2007 / 이경훈 [지음] / 문학동네
바벨의 후예들 폐허를 걷다2006 / 이경수 지음 / 서정시학
역사의 일요일, 역사 이후의 일요일 = The sunday of history, the sunday after history : 식민지의 근대문학2018 / 지음: 이경훈 / 소명출판
한국 현대소설의 자아의식 연구2001 / 이계열 지음 / 국학자료원
연옥에서 고고학자처럼 : 이명원의 한국문학 탐사2005 / 이명원 지음 / 새움
문학을 위한 변명 : 이병주 에세이2010 / 이병주 지음 ; 김윤식 ; 김종회 엮음 / 바이북스
문학을 위한 변명 : 이병주 에세이2010 / 이병주 지음 ; 김윤식 ; 김종회 엮음 / 바이북스
이상 문학의 재인식 = A new understanding of Yi Sang's literature2017 / 지은이: 문학과사상연구회 ; 필자: 양문규, 최현식, 김영민, 이현식, 한수영, 김재용, 유성호, 장철환, 신형철, 배현자 /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