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한국소설의 형성
1. 한국소설의 형성과정
2. 소설의 개념과 범위
Ⅱ. 소설의 유형
1. 소설의 일반적 유형
2. 전개의 중심동인(動因)에 따른 소설 유형
3. 산문양식으로서의 소설 유형
Ⅲ. 구성에 따른 소설 유형
1. 소설 구성에 관한 견해들
2. 소설의 형식적 구성요소
3. 소설의 구성적 유형
Ⅳ. 소설의 주제 구현을 위한 탐색
1. 소설의 주제·제재·소재의 위상
2. 주제를 구현하는 방법
Ⅴ. 소설 구성의 실제
1. 사건의 개념과 상황의 유형
2. 욕망의 개념과 유형
3. 소설의 주제적 형상화 유형
Ⅵ. 소설의 인물
1. 인물의 유형
2. 인물의 상황적 유형
3. 인물의 제시방법
4. 인물을 등장시키는 방법
Ⅶ. 소설의 배경
1. 배경의 기능적 역할
2. 배경의 유형
Ⅷ. 소설의 인물시점과 서술자 시점
1. 인물시점과 서술자 시점
2. 소설의 서술자 시점
Ⅸ. 소설 문장의 길이와 속도
1. 소설 문장의 성격
2. 소설 문장의 길이
3. 소설 문장의 속도
Ⅹ. 소설 문장의 유형
1. 소설 문장에 대한 논의
2. 말하기
3. 보여주기
4. 들려주기
ⅩⅠ. 소설의 직관적 표현기술
1. 직관의 개념적 이해
2. 직관적 표현기술방법의 유형
ⅩⅡ. 소설의 수사적 표현과 구성
1. 수사적 표현의 방법과 기능
2. 풍자(諷刺)
3. 해학(諧謔)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