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이사아 미 탐험대>의 첫걸음 / 백영서
서장 물길 따라 흐르는 아시아적 미 / 백영서
왜 물을 동원하면 아름다움에 이를 수 있는가
물에서 읽는 우주론
물의 다양한 표정과 오감의 미
오감의 미와 아름다운 인간
누가 오감의 미를 수행할까
Ⅰ 물의 미학
1. 흐르는 물, 최고의 자연미와 예술미를 형성하다 / 조규희
산수화 - 산에서 물로
거비파 산수화에서 평원산수화로
흐르는 물, 자연스러움의 미학
자연미와 산수화에 대한 새로운 담론
2. 현대 디자인에 나타난 동아시아적 물의 미학 / 최경원
물을 끌어들인 건축
동아시아 문화의 시작점, 자연과 물
자연의 수공간을 건축공간에 연속시키다
현대건축에 적용된 수공간의 연속성
건물 내부로 끌어들인 물의 미학
현대건축에서 활짝 핀 물의 경관
물로 이루어진 자연, 정원
Ⅱ 물의 상징
3. 물의 표상 : 아시아 영화 속의 물 / 강태웅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의 흥행과 물의 표현
엠티 샷과 아시아적 영상미
생사의 갈림길과 천인상관天人相關
물의 여인과 수색水色
순환적 세계관과 물
4. 물의 신경증, 파괴력, 저주는 어떻게 생명의 상징이 되었나 / 최기숙
原 풍랑, 물의 어둠과 공포-표해록
因 저주, 물속의 검은 힘-소용돌이
果 하나: 장자못, 오만과 어리석음의 상흔-장자못 전설
果 둘: 용소, 희망을 잠식한 눈물-아기장수 설화
流 만경창파, 귀신들린 망망대해-인당수
不忘 일렁이는 바다가 마음속으로-아직, 있다
Ⅲ 물과 문화
5. Subak과 생태미 : 발리 농경과 물에 관한 사례보고 / 김영훈
물에 대한 사유
물과 삶
물과 전통사상
물과 종교
물과 의례
6. 한국의 물 문화와 오감미 / 김현미
물과 오감미
물과 삶
삶과 멀어지는 물
한국의 물 문화와 가치관
새로운 물 문화를 상상하며